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5. 09. 02(화) ~ 09. 12(금)
  • 작품접수 2025. 09. 18(목) ~ 09. 23(화)
  • 작품출력물 제출 2025. 09. 19(금) ~ 09. 24(수)

수상작품

반가워, 금보

수상
출품자 박지수
소속대학 수원대학교 건축학과 4년
설계개요 1. 대지위치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서문로 72번길 11일대 2. 지역지구 : 일반상업지역, 중점경관관리구 3. 대지면적 : 705m² 4. 건축면적 : 359.5m² 5. 연면적 : 1177m² 6. 건폐율 : 51% 7. 용적률 : 167%
작품설명 ‘Adaptability’를 주제로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급변하는 사회, 문화, 기술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공간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기능을 잃어버린 노후건물을 재해석하여 다시 변모시켜 다양한 사람들에게 오래된 것의 소중함을 느끼게 하고 새로운 삶의 충전장소가 되도록 하였다. 수원시 팔달구에 위치한 금보여인숙은 100년이상된 ‘ㅁ’ 자 한옥으로 1961년까지 인근에 큰 우시장이 섰고, 1980년대 초까지 청과물시장이 있어서 상인들로 북적이던 숙박업소였으나, 현재는 산업의 발달과 간선도로에 밀려 뒷골목에 자리잡고 있다. 금보여인숙이 갖고있는 역사와 가치를 살리며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지역활성화에 기여되도록 하였다. 주변에 수원화성이 위치하여 국내외 관광객들이 많이 모이는 위치이며, 기존용도를 최대한 보존하기위해 게스트하우스로써의 공간을 만들고자하였다. 설계를 할때에는 신축건물과 한옥이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사이트가 수원화성 역사문화중점경관관리구역에 위치하여 높이제한이 있기도 하지만 금보여인숙은 단층 한옥이기 때문에 신축건물의 높이와 크기를 조절해 중압감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중요했다. 또한 한옥과 어울리는 마감재사용과 루버 형태를 디자인하고 직선보다는 사선을 이용하여 현대건물과의 이질감을 줄이도록 하였다. 기존건물인 한옥에서는 주민사람들과 관광객들이 소통할 수 있는 public 한 공간을, 신축건물에서는 게스트하우스를 이용하는 사람들만이 편히 쉴 수 있는 private 한 공간을 만들었다.
지도교수 최정권
지도교수 작품평 이번 학기 우리 스튜디오에서는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급변하는 사회, 문화, 기술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공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었다.가치 있는 노후건물을 매체, 기억, 논문 등을 통해 찾아보고 건축적인 방법으로 재해석하여 다시 새로운 장소로 변모시켜 계획해 보도록 했다.특히 도시재생의 일환으로써 문화시설로 이용하기 충분한 용도와 프로그램을 조성해 다양한 사람들에게 오래된 것의 소중함을 느끼게 하고 새로운 삶의 충전 장소가 될 수 있도록 유도했다.“반가워 금보” 프로젝트는 우리 스튜디오의 목표를 잘 이해했고 이를 풀어 잘 계획했다.그리고 학생이지만 현실적인 접근을 통해 실제 실현가능하도록 디자인 했다.또한 기존한옥과 어울리는 현대적인 건물의 계획적 접근은 자칫 외줄타기와 같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 부조화로 떨어지기 십상이지만 균형감있고 창의적으로 평면, 입면 및 형태를 디자인했다고 평가한다.오랜 시간 도시를 이루고 있는 맥락을 이해하고 개발을 진행하는 과정이 어렵기 때문에 모두 철거하고 신축 아파트를 짓는 방향으로 도시 재생이 진행되고 있다고 본다.그래서 우리 도시재생의 대안으로써 “반가워 금보” 프로젝트를 추천하는데 의의가 깊고 손꼽힐 만한 수작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