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NF Project : No Fence, New Façade

수상 우수상
출품자 우현주
소속대학 중앙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설계개요 [함께 살아가는 도시 공동체에서의 아파트 형태를 고민하다] 급격한 도시화 속에서 서울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들이 등장하였다. 작은 필지들이 합쳐져 거대한 아파트 블록(Superbolck)으로 바뀌고, 공공 도로는 사유지로 흡수되어 외부와의 단절을 초래한다. 동네 주민들이 기존에 사용하던 골목 통로는 사라지고, 외부인의 아파트 출입을 억제하기 위한 난간과 높은 담이 그 자리를 대신하여 아파트 경계부의 가로 환경을 삭막하게 만든다. 아파트 내부는 고급화가 이루어지지만, 도시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의 아파트 단지에 대한 고려는 부족한 상황이다. <NF Project>는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하나의 해법을 제시한다. 아파트 단지의 담을 허물고, 저층부를 온전히 공공에게 개방하는 설계를 토해 도시와의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녹지와 수공간을 조성하고, 다양한 이벤트가 열리고 SOC 프로그램이 들어설 OPEN SPACE를 통해 이웃과 소통하며, 아파트가 도시 공동체에 기여하는 새로운 형태를 제안한다.
작품설명 [도시 공동체와 함께하는 아파트의 새로운 비전] 본 프로젝트는 도시 공동체에 기여하는 아파트 단지의 새로운 프로토타입을 제시한다. 지상 공간을 공공에게 개방하고, 지역 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을 마련하여 도시와의 소통을 강화한 새로운 주거 모델을 제안한다. 지역에 필요한 SOC 프로그램과 공공 보행로를 도입함으로써, 도시와의 유기적인 연계를 이루면서도, 아파트 거주민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상층부 거주민 전용 커뮤니티 시설과 주거 유닛의 다양성과 쾌적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단순히 내부 고급화에 그치지 않고,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아파트 단지의 새로운 주거 모델을 제시하며, 아파트가 도시 속에서 더 이상 고립된 공간이 아닌 중요한 공동체의 일부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 속 열린 아파트, 저층부를 공공에게 내어주다] 본 설계에서는 아파트 단지의 담을 완전히 없애고, 저층부를 공공에게 개방하여 주민과 인근 지역 주민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녹지 및 수공간을 조성한다. 다양한 이벤트와 SOC 프로그램을 위한 임시 건축물이 들어서며, 아파트 거주민과 도시 전체가 함께 숨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코어가 자리하는 곳에 게스트 하우스를 운영하며, 이곳에서 얻는 수익으로 지상 공원을 관리한다. [아파트 거주민의 삶의 질을 극대화하다] 저층부를 공공에게 내어주면서도 거주민의 삶의 질을 극대화하기 위해 건물을 수평, 수직으로 확장하여, 전용 커뮤니티 공간을 건물 상층부에 배치한다. 스카이라운지, 독서실, 유치원, 헬스장, 거주민 전용 녹지 쉼터 등 다양한 시설을 제공한다. 또한 9m*9m의 격자 구조체를 적용해 필요에 따라 공간을 자유롭게 확장하거나 재구성할 수 있는 구조적인 유연성을 제공하며, 4.5m*4.5m의 모듈을 활용한 다양한 주거 유닛을 생성할 수 있다. 유닛이 결합되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VOID에는 거주민을 위한 파티오를 형성하여, 쾌적하고 풍요로운 거주 환경을 제공한다.
지도교수 송하엽 교수님
지도교수 작품평 NF Project는 아파트 단지와 주변 도시 공동체 간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혁신적인 시도이다. 아파트 단지의 경계를 허물고, 저층부를 지역 사회에 개방하여 도시와의 유기적인 연결을 강조하였으며, 다양한 SOC 프로그램과 공공 보행로, 녹지 및 수공간의 조성으로 아파트 단지가 도시 공동체의 중요한 요소로 기능하도록 유도하였다. 상층부에 위치한 거주민 전용 커뮤니티 시설은 단지 주민들의 생활 만족도를 높이면서도, 지상부의 열린 공간과 조화를 이루는 균형 잡힌 계획이다. 또한, 모듈식 구조를 통해 주거 유닛의 다양성과 유연성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거주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주거 모델을 제안한 것도 눈여겨볼만한 부분이다. 공공보행로와 관련된 갈등이 빈번한 현 상황에서, 아파트 단지가 도시 공동체와 상생할 수있는 방안을 제시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제안이다. 해당 학생은 설계 과정에서 사회적 인식, 법적 문제와 같은 현실적인 제약들을 함께 고민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남아 있지만, 거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면서도, 지역 사회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아파트 단지 설계의 혁신적인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