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The Urban Horizon Monument _ (도시의 수평적 기념비성)

수상 우수상
출품자 현동협
소속대학 제주대학교 건축학전공 5년
설계개요 [도시의 보편성을 위한 건축화된 광장의 제안] 도시와 건축은 어떤 상호 관계를 맺어야 하는가? 제주의 행정 시설은 많은 이전이 있었고, 그 흐름은 한국의 근,현대사의 흐름과 궤를 같이한다. 과거 제주 행정의 중심은 조선 시대 만들어진 관덕정이었다. 이곳에서는 행정의 업무와 더불어 제주 시민들의 많은 사건이 일어날 수 있었던 기념비적 공간이었다. 하지만 행정의 현대화와 6.25 전쟁 당시 임시 정부 청사 건립을 목적으로 지어진 도청 건물(현 제주 시청사 건물)로 이전하게 된다. 이후 박정희 군부 정권 당시 신도시 개발을 위해 지어진 현재 도청사 건물로의 이전과 같이 총 3번의 제주 행정 시설의 이전은 제주 중심 공간의 장소성과 그에 따른 도시의 기념비성을 상실하게 하였다. 그렇다면 현재 제주의 행정 시설이 밀집해 있는 문연로 18 일대는 어떠한가? 이곳은 민주 행정 시설로서 그 어느 곳보다 가장 공공성을 띠어야 하며 시민들의 일상 속에서 기념비적이어야 한다. 허나, 건축의 권위를 위해 수직적으로 높아져온 공공건축의 파사드, 주차의 기능적 요구에 의해 사라진 도시의 광장, 보안을 핑계로 만들어진 기형적 등고와 높은 옹벽은 개인이 가진 권력에 따라 누릴 수 있는 공간의 위계를 나누었다. 도시에서 가장 기념비적이야 하는 공간인 민주 행정 시설 일대가 기능적으로 시민들의 일상과 분리 됨을 비판하며, 민주 시민을 위한 공간 속 익명의 개인이 보편적으로 사용 가능한 건축화된 광장을 제안한다.
작품설명 [상실 도시] 제주에서 가장 공공성을 띠어야 하며 시민들의 일상과 깊숙이 관계 맺어야 하는 도청사 일대는 높은 옹벽, 두터운 주차 공간, 권위적 건축 형태, 기형적으로 높아진 등고로 인해 시민들에게 철저히 배타적이다. 시민으로서의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경우와 도로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목적을 제외한다면 도청사 일대는 제주 시민들의 일상에서 철저히 “상실”되었다. [도시의 보편성] 개인의 목소리를 내는 시위대는 높은 옹벽을 기준으로 도로 위에서 위태롭게 위치하고 있는 반면, 권력을 가진 자는 도청의 새로 지어진 옥상정원을 향유한다. 개인의 권위에 따라 도시에서 점유할 수 있는 공간의 위계가 나누어졌으며, 도시는 “상대적“으로 변하였고 파편화되었다. 개인이 가진 권력의 위계와 상관없이 누릴 수 있는 보편적 도시의 모습을 위해 ”건축화된 광장“을 제안한다. [건축화된 광장] - 광장 조성을 위한 선행 조건 도청사 일대의 광장화를 위해 선행 과제로써 대상지 일대를 가로지르던 문연로는 우회 도로를 개설함과 동시에 6M 도로 확폭을 통해 교통량을 유지하며, 각 행정 시설의 마당을 점유하고 있던 주차는 전면 지중화를 통해 기능적 요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지상층의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한다. - 광장의 작동원리 단순히 비워져 있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 다목적인 공간인 광장이 무목적 공간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 주변 현황 프로그램을 흡수하여 ”광장의 목적성”을 제안하며, 거대한 광장은 “위요된 마당”의 조합으로 완성된다. 오래된 도시의 새로운 질서를 위해 적극적 개입을 제안한다. 01. 인근 주택가와 보행로 연결 도로 조직망과 광장의 연결을 위해 기존 청사의 3M 옹벽을 철거 후 슬로프와 계단을 통한 보행 동선을 연결한다. 또한, 동선은 각 청사의 입구와 연결되며, 광장의 지하층, 지상층, 옥상정원을 끊임없이 연결시킨다. 02. 기계적 장치 광장과 지하층, 옥상정원을 연결하는 수직 코어는 광장 작동의 중요한 기계적 장치임과 동시에 각 마당의 구심점이 되어준다. 03. 위요된 마당 현재 도청사 일대 행정 시설들의 건물들은 노후화와 더불어 청사 공간 부족 문제가 대두되며 시설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3번의 이전의 과정에서 행정 시설로서의 권위를 잃어버린 상황 속 다시 같은 문제를 반복할 수는 없다, 행정 시설 일대를 동서축으로 가로지는 구조물의 제안은 행정 시설들의 프로그램 중 시민들에게 공유 가능하고 개방된 프로그램을 수용하며 행정 건물과 마당을 두고 병치하여 위요된 마당을 만들어 낸다. 04. 기존 식생의 존치 기존 도로(문연로)와 평행하게 위치한 가로수는 남북으로 위치한 오름과 공원을 연결하는 주요한 녹지축이었다. 이러한 녹지축은 지붕층의 옥상 정원을 통해 기능을 유지하며 광장 이용 시민들의 그늘과 쉼터로 자리한다. 또한, 모든 것이 변한 도시 속에서 유일하게 자리를 유지하고 있던 보호수는 광장 공간의 구심점으로 작동하며 수직적 오브제로서 위치한다. [형태적 언어] 민주 시민을 위한 광장은 어떻게 드러나야 하는가? - 과도한 사선 처마와 거대한 열주는 분명한 주변의 형태적 언어이다. 광장 중심에 자리 잡은 건축의 처마는 옥상 층의 난간과 심토를 위한 구조, 광장의 그늘을 위해 기능적으로 드러난다. 또한, 건축의 열주는 주변 청사의 거대한 기둥과 달리 사람의 스케일에 맞춰져 주변과 대비를 이루며 주차 모듈의 고려, 지하 공간의 무주 공간을 위한 SRC 구조 중심부에 35mm 홈을 통해 만들어진 세장한 비례는 주변 청사의 거대한 기둥과 분명한 대비를 이룬다, 주변 형태적 언어의 맥락과는 동일하지만, 스케일의 병치를 통한 대비는 의장적 요소에 머무는 것이 아닌 시민의 광장 속에서 쉼터가 되어줄 것을 기대한다.
지도교수 김태일,홍경범
지도교수 작품평 본 설계작품에서 주목하고 있는 점은 광장이다. 제주는 근대화의 물결 속 행정 시설을 중심으로 한 신도시 건설을 통해 도시의 광장을 실천하고자 하였으나 상징성과 민주성이 결여된 행정 중심의 공간 집합체에 머무른 한계와 부작용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설계자는 이러한 일련의 도시적 맥락을 강하게 비판하며 문제적 현상을 「상실도시」로 규정하고 제주의 행정공간 일대를 도시의 상징성을 갖는 광장으로 거듭날 수 있는 「건축화된 광장」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①도로에 의해 분단된 인근 주택가를 연결하여 온기를 불어넣어 도시의 심장으로서 활력을 갖게 하고, ②광장 지하층, 옥상의 공간을 연결하는 수직코어를 두어 미세혈관까지 생동감을 불어넣는 기계적 장치를 두며, ③동서축으로 가로지르는 행정건물의 외부공간을 풍요롭게 하는 위요된 마당을 설치하여 공간의 영역성을 부여하고 여기에 녹지공간을 덧씌움으로써 도시의 살아있는 심장으로서 되살아 날수 있도록 제안하고 있다, 도시건축의 패러다임을 크게 변해 가고 있는 현실 속 도시공간의 민주성과 상징성을 구현하면서 시민의 삶을 재구성하기 위한 참신하고 도전적인 계획안으로 평가되며 본 설계작품을 추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