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개요 |
도시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그 속에서 서울의 창신동은 도시로서 긴 시간의 흔적을 가진 곳이다. 이러한 창신동에는 수십 년간 이어져 온 봉제공장들이 여전히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유지하는 것은 고령층으로 이루어진 지역 주민이다. 이처럼 창신동은 봉제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도시로, 과거의 시간이 고스란히 흐르며 남아있는 곳이다. 그러나 현재 창신동에는 ‘보존’이라는 명목 하에 방치된 공간들이 남겨져 있으며 이는 곧 주민의 삶과 지역환경의 훼손까지 이르는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창신동은 과거 채석장의 흔적인 여러 절개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절개지는 과거 도시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는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방치된 채 위협적인 공간으로 남아있으며 도시의 물리적 연결성을 끊어버려 도시 내부의 단절 야기하는 공간으로 남아있다. 또한, 창신동내부의 밀집된 구역 속에서는 봉제공장의 폐원단부터 고물상과 같이 쓰레기 문제가 관리되지 못한 채 지역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프로젝트에서는 도시 내 죽어가는 산업과 환경문제로부터 접근하여 창신동의 노후화된 봉제산업과 환경, 방치된 위협적인 절개지, 폐원단의 쓰레기 문제를 바탕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도심 내 소규모 봉제공장을 하나의 수직 시스템으로 묶은 봉제 산업 플랫폼이자 재활용 시설인 SEWING : the vertical Changsin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창신동의 방치된 절개지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공간적 가능성을 열어 수직형 봉제 플랫폼을 통한 지역의 활성화와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기대한다.
|
작품설명 |
[도시 구조를 바탕으로 한 수직 배치]
창신동은 무질서하고 복잡한 도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곳이다. 또한 지리적 특성상 조각난 도시의 입면이 그대로 드러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무질서하고 조각난 도시 구조는 도시의 활력을 나타냄과 동시에 급격한 경사지로 인한 물리적 단절을 야기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프로젝트는 이러한 도시 구조를 디자인 개념으로 가져와 도시의 조각들을 수직적으로 재배치하였다. 수평 분산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창신동의 소규모 봉제공장들을 절개지에 수직 집합적으로 배치하였다. 이렇게 절개지의 수직성을 따라 배치된 봉제 공장들은 여러 조각으로 분절되고 다양한 각도로 틀어져 창신동의 조각난 무질서함과 활력을 나타냄과 동시에, 수직적 흐름으로 결합된 하나의 봉제공장 플랫폼을 형성한다.
또한 절개지의 윗마을과 아랫마을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즉 절개지에서 하나의 수직적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창신동 내부의 물리적 단절을 해결하고, 각 조각 매스를 관통하는 코어를 통해 주민들의 이동과 교류에 편의를 제공해 주는 공간적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방치된 절개지에 활력을 불어넣고, 새로운 도시적 맥락을 부여함과 동시에 창신동의 역사적 지형적 맥락을 이어 나가도록 하였다.
[수직 시스템의 적용 및 절개지 면의 공간적 활용]
수직형 봉제 플랫폼의 중요 개념 중 하나는 절개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수직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이다. 절개지에 형성된 수직적 매스는 절개지를 타고 흐르며 봉제 공장의 생산 과정과 연계되는 흐름을 가지는데, 봉제 작업의 원단 수거부터 패턴, 재단, 재봉 및 마도매, 시야게, 마지막 출하까지의 단계를 바탕으로 절개지 상부에서 시작된 작업이 하부로 내려오며 완성된 제품을 출하하는 시스템을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단순히 옷을 생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단 폐기물을 내부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처리 과정도 마찬가지로 수직적인 흐름에 따라 상부에서부터 폐기물의 수거, 분류, 후처리, 야적, 출하의 단계를 거치도록 하였다. 특히, 패턴과 재봉 사이 단계에서 발생하는 원단 폐기물은 재활용 처리 과정의 분류와 선별 단계로 이동하여 처리되거나, 자재 선별 후 연구 및 개발 플랫폼으로 운송되어 새로운 형태로 재탄생하거나, 업사이클링 및 리사이클링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하나의 중요 개념은 다양한 세대 간의 화합을 도모한 공간으로, 봉제공장의 기능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닌 젊은 디자이너와 방문객을 위한 다양한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절개지에는 입면을 따라 기본 3mx3mx3m 크기의 모듈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 모듈들은 젊은 디자이너 스튜디오, 팝업, 공유작업실, 체험 공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 모듈들은 단순히 작업실의 기능을 넘어 고령의 노련한 봉제 종사자들과 젊은 디자이너들이 서로 협업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환경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방문객들이 자유롭게 다니고 외부환경과도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여, 창신동의 새로운 문화적 커뮤니티의 공간으로 자리 잡아 창신동 기존의 노후화된 산업 환경에서 벗어나 새롭게 발전하는 도시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절개지 입면의 구성]
절개지 입면에 설치된 모듈들은 비계 시스템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러한 비계 시스템은 절개지 전면에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연결된 입면으로 느껴지도록 하였다. 이에 비계 구조물은 절개지의 각기 다른 표면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절개지의 형태와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이는 기존의 방치된 절개지 입면을 새롭게 재구성하는 것으로, 조각나고 무질서하게 배치된 모듈과 함께 도시의 단절된 공간을 시각적으로, 물리적으로 재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과거 절개지가 지역 주민이나 방문객들에게 제한적인 공간이었다면 비계를 통해서 사람들의 접근성을 개선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비계 시스템을 통해 사람들이 오르내릴 수 있는 구조의 틀을 형성하여 사람들이 절개지를 단순히 통과하는 것만이 아니라 절개지라는 공간 자체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절개지의 자연적 요소는 비계 시스템과 함께 사람들이 자연을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이 되도록 하였고, 자연과 인간이 공생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절개지를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과거의 도시의 흔적을 기억하며 자연의 일부로서 도시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단순히 물리적 연결성을 확보하는 것을 넘어서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한 것이다.
[결론]
SEWING : the vertical Changsin은 절개지를 재구성하고 수직형 봉제 플랫폼을 통해 지역을 활성화함과 동시에 지역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지역의 무질서하고 조각난 도시 구조를 반영하여 절개지를 중심으로 새로운 도시 조직을 형성하여 물리적 단절을 해소하고, 봉제 공정과 재활용 공정의 수직화 및 통합을 통해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계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모듈형 스튜디오와 공유공간의 도입으로 젊은 디자이너와 지역 고령층의 봉제산업 종사자와의 협업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문화적 커뮤니티 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창신동의 재생 및 활성화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지도교수 작품평 |
SEWING:the vertical Changsin은 서울 창신동의 역사적 배경과 현재 직면한 문제들을 혁신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의도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창신동은 오랜 봉제산업의 중심지로, 지역 주민들이 이 산업을 지켜왔지만, 방치된 공간과 절개지, 쓰레기 문제로 인해 환경과 주민의 삶이 위협받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직형 봉제 플랫폼과 재활용 시설을 통합하여 새로운 도시 공간을 창출한다.
특히, 플랫폼은 절개지의 수직성을 활용해 물리적 단절을 해소하고, 주민들의 이동과 교류를 촉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모듈형 스튜디오와 공유 공간은 지역 주민과 젊은 디자이너 간의 협업을 도모하여 창신동의 문화적 커뮤니티의 역할을 수행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건축물을 넘어, 지역의 사회적, 환경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혁신적인 접근으로 평가할 수 있고, 또한 창신동의 재생과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지역 사회의 재구성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작품은 건축이 지역 사회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