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 |
우수상
|
출품자 |
김지후
|
소속대학 |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5학년
|
설계개요 |
[주거 : 호텔]
호텔은 유동과 정주 반복이 일상화된 시점에서 ‘새로운 주거'이자, '향유의 장소’이다.
오늘날 교통수단과 네트워크의 발달로 영역이 확장되었고 더 이상 장소와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어디든 원하는 곳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서울로 오기 편한 교통수단으로 인해 수도권의 인구 집중은 더 가속화된다. 도시가 과밀화되면서 지방 소멸이 문제가 되고 있다. ‘유동과 정주’의 반복이 일상화된 시점에서, 지방소멸의 대안으로 ‘새로운 주거 형식의 호텔’을 제안한다. 지방으로의 우연한 방문이 주기적 방문이 되고, 그 중 오래 머무르는 사람들이 생기며, 완전히 이사는 가지 않더라도 자주 놀러갈 수 있는 상황이 벌어지길 기대한다. 이는 그 지역의 고유한 환경, 라이프 스타일을 지닌 ‘향유의 장소’일 것이다.
|
작품설명 |
[간척지]
01. 간척 - 어민과 농민의 삶
갯벌이 발달한 지형인 서해안은 오래전부터 조금씩 간척되어 왔다. 바다를 호수로, 갯벌을 땅으로. 간척으로 인해 기존 항구 마을들이 희생되어 어민들은 쫓겨나는 상황이 있었던 반면, 농지가 생기면서 농민들의 새로운 마을이 생겨났다. 수확량이 늘어난 농민들과 어획량이 줄어든 어민들의 갈등.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민과 농민이 같이 어우러져 살 수 있는 건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바다와 논을 가로짓는 방조제, 바다와 논의 연결을 꾀한다.
02. 어민의 삶 – 방조제 이후 수생태계
새만금은 만경강과 동진강, 서해가 만나 넓은 간석지가 있던 곳으로 현재 대규모 간척사업이 이뤄지고 있는 지역이다. 매립을 위해 강에서 준설과 모래 채취를 하여 새만금 호의 수심이 깊어진 탓에, 고인 물이 썩고 오염물질의 퇴적이 심각해졌다. 따라서 땅을 메워 간척을 하던 방식을 벗어나, 해조류와 어류의 서식처를 조성하여 수생태계를 회복시키는 새로운 간척의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바다와 강의 밑바닥에서부터 새로이 디자인하며 시작된다.
03. 농민의 삶 – 간척지 기후
간척지는 해발고도가 낮으며 산지가 없는 평야지대로 바람이 매우 강한 것이 특징이다. 농지는 해풍의 피해에 민감하기 때문에 방풍림 조성이 필요하다.
[Mangrove]
01. 어부림이자 방풍림
맹그로브는 대표적인 어부림이자 방풍림으로 어류들의 서식처가 되면서 해풍을 막는 역할을 한다. 건물의 하부는 땅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해조류와 어류들이 살 수 있는 어부림을 조성하여 물을 맑게 하고, 상부는 강풍을 막는 방풍림이 된다. 하부는 해조류와 어류들이 사는 바다마을, 상부는 사람이 사는 마을이 된다.
02. 생장점 - 하나의 지오메트리, 다양한 스케일, 다양한 공극
사람이 사는 마을과 해조류와 어류들이 사는 바다마을의 스케일은 다르다. 생장점에서 끝없이 뻗어나가는 가지들. 이것은 하나의 지오메트리가 된다. 스케일은 다르지만 지오메트리는 유지되며 다양한 공극을 만들어내고 가변성 및 확장가능성을 지닌다.
[방조제 위의 호텔]
바다와 논, 방조제로 그어진 선 위에 호텔이 들어선다.
주거민(농민과 어민)과 숙박객(체험자, 주말농장, 계절 투숙객, 장기 투숙객 등). B1층은 주거민인 농민과 어민들 생산의 공간이다. 생산된 농수산물은 1층의 시장으로 보내진다. 1층은 숙박객을 맞이하는 공간이자, 농수산물 시장과 레스토랑 및 레저 시설이 있다. 2층과 3층은 주거 공간으로 주거민과 숙박객을 위한 방들이 들어선다. 숙박객은 낚시, 모내기, 제철 채소 수확 등 농업과 어업을 경험하며, 직접 수확한 농수산물로 신선한 요리를 맛볼 수 있다.
인간을 위해 험지를 임의로 개간하는 기존의 간척 방식을 넘어서, 바다와 논의 연결을 꾀하며 생태환경을 보호하고자 하는 새로운 거주지인 ‘방조제 위의 호텔’은, 서해안만의 고유한 지역적 특색이 되고 더 나아가 새로운 문화를 경험하는 ‘향유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
|
지도교수 |
이강민
|
지도교수 작품평 |
서해안 간척사업으로 농지와 함께 농민의 수가 늘어나는 반면, 항구마을과 함께 어민들의 생활터전은 줄어들고 있다. 매립용 준설과 모래 채취는 새만금 호의 수심을 깊게 만들고 오염물질의 퇴적으로 이어져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해조류와 어류의 서식처를 조성하는 새로운 간척의 방법에 주목하며, 맹그로브를 제안한다. 건물과 땅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그 하부에 해조류와 어류들이 살 수 있는 어부림을 조성하여 물의 정화 기능을 담당하고, 상부는 강풍을 막는 방풍림이 된다. 그 결과, 하부는 해조류와 어류가, 상부는 사람이 사는 두 개의 마을이 된다. 생장점에서 끝없이 뻗어나가는 가지로부터 추출한 지오메트리를 이용해 두 마을의 서로 다른 스케일을 매개하고 다양한 공극을 만들어내어 가변성 및 확장가능성을 가지는 개념을 도출한다.
바다와 논을 가르는 방조제 위, 거주민과 숙박객이 함께 사는 주거이자 호텔에는, 농,어업 생산 공간, 시장과 공용공간, 주거민과 숙박객 모두를 위한 방이 수직적으로 배치된다. 새로운 거주지가 된 방조제 위의 호텔은 기존의 간척 방식에 대한 대안이자 서해안만의 고유한 지역적 특색이 되고, 나아가 새로운 문화를 경험하는 ‘향유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