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魚울림 마을

수상 우수상
출품자 오해환
소속대학 대전대학교 건축학과 5학년
설계개요 [魚울림 마을: 대천시 해양기반산업 체류거점 프로젝트] 00. PROLOGUE _ ‘정주인구? 체류인구?’ 지방소멸 위기의 시대에 대천시 또한 인구감소를 피할 수 없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정주 인구는 감소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천시의 개발 방향성은 거주인구보다는 관광객들을 위한 대천해수욕장, 대천 앞 바다의 5개 섬을 레저 특화 아일랜드로 개발하는 등 체류 인구 중 관광객들을 위한 내용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대천시의 지방소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대천시의 정주인구와 체류인구 각기 다른 성격의 인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보다 다른 방향의 제안이 필요하다. 대천시 인구와 문제점 분석을 통해 관광개발이 정말로 대천시에 사는 사람들을 위한 일인지 고찰했다.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휴양시설들도 진정으로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체류 인구를 위한, 거주인구를 위한 각각의 프로그램이 아닌 두 가지 성격의 인구가 하나로 녹아들 수 있는 제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헀다. 그리고 그 도시의 사람들이 실제로 일을 하고 만나고 쉼을 가질 수 있는 도시의 [장소성]과 [삶의 질], 그리고 [기반 산업의 발달]을 충족시키는 것이 풍요롭고 건강한 도시를 형성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작품설명 01. SITE SELECTION & PROBLEMS _ “소외된, 그러나 잠재력 있는” 대천시의 [장소성]을 느낄 수 있는 장소인 [대천항]을 사이트로 선정했다. 대천시의 기반 산업인 어업이 이뤄지는 장소이자 사람들이 오가는 여객선 터미널, 시장 등이 있으며 거주인구와 체류 인구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반 산업]인 수산업 관련 시설들의 노후화가 심화됐고 수산시장을 제외한 선착장, 어업 전진기지 등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기능적으로만 존재하며 많은 프로그램에 대응해야 하는 주차장만 존재한다. 방문자와 거주자로 하여금 대천항만의 공간적 체험과 경험을 이끌어내기는 부적합하다. 02. SOLUTION PROCESS _ “항구를 구성하는 새로운 제안” 이 프로젝트는 대천항의 노후화되고 단절된 항만시설과 마을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성장시키기 위한 건축적 재정립을 제안한다. SETP 1 : 기존의 항만시설 영역은 선착장을 제외한 다른 프로그램들은 바다와의 관계는 단절되어 있다. SETP 2 : 바다와 단절되어 있던 영역을 재자연화함으로써 바다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지역사회를 위한 더 많은 공공 수변공간을 구성한다. SETP 3 : 재자연화된 영역에 기존의 프로그램을 재배치 함으로써 각 프로그램과의 바다와의 관계를 재정의하여 사람들에게 바다라는 경험적 요소를 제안한다. SETP 4 : 대천항의 프로그램을 단절시키던 주차 공간과 도로의 레벨을 상승시키고 거주민들이 순환하며 직접적으로 바다와 관계할 수 있는 패스를 제안한다 SETP 5 : 대천항 진입부의 산의 경관, 대천 바다의 물결에도 순응하고 조화를 이루는 루프를 설치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룬다. 또한 각 프로그램에 바다의 강한 해풍과 태양을 막아주고 각 프로그램이 하나의 형태로 하나의 마을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03. ARCHITECTURAL STRATEGY _ 지역기반산업 체류 거점 프로젝트 5가지 방향성 방향 #1, [조수간만 차에 따라 변하는 항구] : 장소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서해안의 특성인 조수간만의 차를 활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가지는 항구를 구성함으로써 방문자와 거주자에게 독특한 체험과 상징성을 제안한다. 방향 #2, [대천항 해양시설의 전문화] : 선착장, 어업 전진기지, 수산시장, 귀 어촌학교, 서해안 컨벤션 센터 등 기반 산업을 중심으로 대천항에 새로운 활력을 부여할 수 있는 해양시설의 유기적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단순 관광 및 체류가 아닌 유입 – 교육 – 성장 – 인력투입의 체계적인 과정을 거처 대천에서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새로운 사이클을 제안한다. 방향 #3. [정주 인구 + 체류 인구 = 새로운 공동체] : 기존 정주 인구와 해양 기반 산업 플랫폼의 체류자 등 관광 방문만이 아닌 보다 다른 타입의 체류 인구를 위한 공간을 구성하고 새로운 활력을 부여하기 위해 단순한 주거와 호텔, 스테이가 아닌 복합화된 공동주거 형식을 제안한다. 방향 #4.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을 길] : 뚜렷한 목적을 갖고 이용하는 시설물이 아닌 일상에서 산책길에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물 위를 걷고 건물로 진입하는 물의 경험을 통해 [친수 효과]를 일으켜 그 지역에 살아가는 특별함을 제안한다. 방향 #5. [복원된 생태계와 친환경 발전 시스템] : 대천항의 남쪽에 위치한 생앵산에서 흘러나오는 하천에서의 퇴적물을 재자연화된 항구를 통해 퇴적되고 식생이 자랄 수 있는 환경으로 구성함으로써 단절된 생태계를 복원시켜 거주민들에게 자연적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대천항의 자연적 요소를 활용하기 위해 조류와 태양광, 소형풍력, 조류발전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각 프로그램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상했다.
지도교수 김상겸
지도교수 작품평 본 계획안은 지방소멸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하면서 구성하게 된 프로젝트이며 대천의 장소성 구축이라는 아이디어로 시작해 지방소멸의 주된 원인인 사회적 문화적 인프라를 구성하고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그 지역만의 특색을 가져야한다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대천시의 개발은 관광, 휴가를 즐기기 위한 관광객들로 이루워져있지만 다양한 해산물의 수확과 아름다운 서해안의 바다의 앞에서 성장한 대천의 모습, 그것이 하나의 문화가 되며 단순한 관광개발이 아닌 본디 대천의 모습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하나의 해결책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지역적인 특색인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하는 방법론과 획일화된 항구의 모습을 재구성하여 중심이 되는 장소성이라는 개념을 극대화 하기 위한 내용이 실제로 관광개발로만 이뤄지고 있는 작금의 지역 사회의 모습에 상당한 영향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하며 지역사회가 가야하는 방향성에 대해 인식에 대한 영향 또한 상당할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학생의 고향에 대한 애정을 기반으로 시작한 설계인 만큼 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이 특징적인 계획안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습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이 구체성있게 제시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