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Lead a Life, 도심 또 하나의 주거가 되다

수상 우수상
출품자 변혜진
소속대학 부산대학교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5년
설계개요 도시적 차원에서 현재의 도시는 주거, 상업, 업무, 문화, 녹지 등 각각의 영역들이 분리되어 있다. 이는 도심공동화, 젠트리피케이션 등 여러 도시적 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좋은 도시로써 오랜시간 지속되기 어렵다. 주변의 도시와 관계를 맺으며 개개인의 주거공간을 나만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조성하고, 여러 영역에 관한 활동들을 복합주거 내부에서 해결하도록 하여 주거의 개념을 확장해봄과 동시에 도심에서 주거 공간의 사회적 단위를 재구성해보고자 하였다.
작품설명 현재의 아파트단지나 주상복합 형태의 주거들은 도시 내의 커뮤니티를 저해하고 스스로가 고립된 섬의 형태로 남게 되었다. 그들이 차지하고 남은 주변 외곽 영역들이 도시의 거리나 공공공간이 되었다. 이 주거형태들은 또한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이 아닌 지리적 조건, 경제적 조건에 의해 주거 공간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가져왔다. 해당 사이트는 주거 지역과 상업지역의 경계가 뚜렷한 지역으로, 공공 공간이 부족하며 넓은 지상 주차장으로만 사용되어 비효율적으로 활용되었다. 개인의 주거를 가장 사적인 공간으로 보고, 개개인의 주거들 사이에 공동 복도를 확장시킨 개념을 적용하였다. 유동인구가 많은 저층부의 경우 공적 공간을 확보하여 도시와의 관계를 유도하며, 주거와 공적 공간의 연결은 문화공간을 이용하여 주거 내 커뮤니티 뿐만 아니라 도심 속 외부인과 소통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사이트 내부 보이드의 경우, 도심의 거리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을 수용할 수 있는Commercial Void 와 주거와 관련된 요소들을 배치한 Natural Void 로 2가지 타입을 적용하였다. 주거의 경우 도심 속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Life-Cycle을 수용하고, 더 나아가 알파공간처럼 변형 가능성을 열어 주거가 지속가능하도록 하였다. 주거의 배치는 여러가지 형태의 유닛들이 엇갈려 섞이도록 배치하였고, 각각의 주거 앞 복도는 외부와 최대한 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정원, 쉼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풍부한 공간이 되도록 계획하였다.
지도교수 박은정 교수님
지도교수 작품평 ‘건축의 재발견’ 이라는 대주제와 ‘Genome:Sustainable City’라는 소주제로 진행된 건축설계 스튜디오에서 변혜진 학생은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담은 도심형 주거 복합 단지에 주목하였다. 도심 주거가 가진 주변과의 고립성, 커뮤니티 상실, 도심 공동화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주거공간의 사회적 단위를 재구성하여 프로젝트로 제시하였다. 울산 남구 삼산동에 위치한 대상지는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만나는 접점으로, 두 지역의 수평적 프로그램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기능적 단절을 방지하고, 공동화 현상없이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를 제안하였다. 사이트 내의 밀도를 조절하여 공공공간과 주거내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커뮤니티 강화를 위한 매개공간 계획과 다양한 레벨의 보행친화적 계획을 통해 머무르고 싶은 공간을 구현하였다. 새로운 공간들이 주변과 상호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배치하여 매개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특히 도시맥락적 관점에서 일상적인 도시요소들의 재해석을 통해 도시의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 패러다임을 수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