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주민 모두의 평생학교_은혜초등학교 리노베이션

수상 최우수상
출품자 박지민
소속대학 호서대학교 건축학과 5년
설계개요 위치: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78가길 20 지역지구: 제1종 일반 주거지역 대지면적: 6,712㎡ 용적률: 72.0% 건폐율: 12.0% 용도: 복합 문화시설 건물 규모: 지하 3층, 지상 5층 건물 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작품설명 우리들의 10대의 추억이 담겨있는 학교라는 건물의 장소성은 여러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학교는 주거지와 밀접하게 접하고 있는 공공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특정 연령층들이 이용하는 교육의 시설로 소통을 내포하고 있는 장소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학교라는 건물은 전보다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이유는 최근 저출산로 인해 시골이나 도심에도 폐교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 중 도심의 폐교를 처음으로 스타트를 끊은 서울 은평구 불광동에 위치한 한 사립 초등학교인 은혜초등학교를 리노베이션을 계획한 프로젝트이며, 이 프로젝트를 통해 앞으로 계속 늘어날 폐교의 문제를 건축적으로 풀어보고자 하여 지역에 부족한 생활 SOC를 채워줌으로써 미래 유휴공간에 대한 대안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은혜초등학교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동네의 활력을 불어넣어주던 학교가 문을 닫게 되어 현재 제 기능을 못한 채 유휴시설로 남아있는 공간입니다. 이러한 공간을 리노베이션을 통하여 학교라는 중심성을 다시 되찾아 주고, 지역 주민들의 커뮤니티 거점시설인 공간으로 만들어줌으로써 학교의 폐쇄적인 기능을 열린 공간으로 만들어주어 연령층에 제한이 없는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곳으로 바꾸어 주는 계획을 하여서 주민 모두의 평생학교라는 이름을 짓게 되었습니다. 프로그램은 지역의 필요한 체육시설과 문화시설, 커뮤니티 시설인 도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뮤니티 시설과 문화시설 부분은 기존 학교의 옛공간들을 활용하여 주민들의 추억이 담긴 공간으로 활용하였습니다. 학교가 주는 기존의 구조체나 모듈화 되어있는 공간들을 최대한 활용하며 새것과 기존의 흔적이 결합되어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하는 리노베이션 계획입니다.
지도교수 박진희
지도교수 작품평 은혜초등학교 리노베이션은 저출산 고령화시대에 늘어나는 폐교들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서 시작하였습니다. 그 결과 마을의 중심공간이자 주민의 추억의 장소인 학교는 주민 모두의 평생학교로 재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경사지의 학교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리모델링의 과정에서 매스를 적절히 잘라내고 붙여나가면서 결과적으로 건물은 자연스럽게 단차를 형성하였고, 골목길과 연결된 다양한 레벨에서 출입구를 계획하여 마을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였습니다. 건물은 다양한 높이의 외부공간을 가지게 되고 가장 높은 곳에 올라섰을 때 학교 뒤 산은 어느새 건물과 하나의 풍경을 이루게 되는 점을 고려하여 설계해 나간 점이 우수하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교육공간이라는 단일프로그램이 리모델링을 통해 교육, 문화, 체육공간이라는 복합프로그램이 되는 과정에서 건물의 형태와 프로그램을 적절히 매칭해나간 점이 우수합니다. 사회적 이슈에 대한 문제의식, 마을에 필요한 프로그램 기획, 대지의 맥락을 고려한 매스계획, 적절한 리모델링 기법의 적용. 까다로운 프로젝트의 전 과정에서 고민과 노력을 이어나간 학생이 만들어낸 완성도 높은 결과물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