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첩첩담중

수상 우수상
출품자 명민수
소속대학 명지대학교 건축학부/ 전통건축학과 5학년
설계개요 현대의 도시에서 우리는 심심찮게 과거의 건축을 마주하곤 한다. 서로 다른 도시의 특성은 때론 충돌하기도 하며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곤 한다. 특히 문화재 인접 지역은 개발 제약으로 인해 많은 갈등이 발생하며, 도시 내 불균형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이다. 현대 도시와 옛 건축의 경계부 처리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간직함과 동시에 시간이 중첩된 유기적인 도시의 모습을 계획해보고자 한다.
작품설명 현대 도시의 문화재는 외딴섬과 같은 존재이다. 보존을 중시하는 문화재의 특성으로 문화재 인근은 많은 규제를 받으며, 낙후되고 때로는 슬럼화가 진행되기도 한다. 현대 도시와 옛 문화재가 충돌하는 모습은 우리 주변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수원은 이러한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장소이다. 오늘날 수원은 여타 다른 도시와 같이 고층의 도시로 모습이 바뀌었지만, 수원화성 인근은 여러 규제로 인해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저층의 오래된 건축물이 산재해 있으며, 열악한 도시 환경으로 인해 지역 곳곳 슬럼화가 진행되고 있다. 프로젝트 대상지인 ‘화홍문 공영주차장’ 또한 약 15년간 다양한 사업이 계획되고 시행되었으나 문화재와 맞닿은 대지의 특수성으로 인해 번번이 무산되었으며, 약 6천여 평의 대지는 현재까지 빈터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도심 속 문화재가 도시발전에 제약만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옛 문화재는 지역의 정체성을 함유하며, 문화재로 인한 고유한 특성은 많은 이들을 방문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문화재 인근으로 전통거리와 같은 특색있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차별화된 모습이 등장한다. 오늘날 도시와 문화재라는 서로 다른 조직은 계속해서 관계를 이어가고 있으나 방식은 지극히 제한적이며 소극적이다. 본 프로젝트는 현대 도시와 옛 문화재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춰, 이들의 접점에서 서로 다른 영역을 존중할 수 있는 건축적 제안을 해보고자 하였다.
지도교수 한지만
지도교수 작품평 가시적 실체로서 도시의 개성과 차별성, ‘그 도시다움’은 시간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다. 이것은 단순히 오래된 장소와 건물의 존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가 탄생한 시점으로 돌아가 이 터가 선택된 배경까지도 포함한다. 이 작품은 역사도시 수원의 구도심,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의 북쪽 정문인 장안문의 인접한 땅에 복합문화시설을 계획한 것이다. 수년간 야외 공용주차장으로 방치되어 오던 땅에, 공공의 개입을 전제로 현실적이면서 과감한 시도를 하였다. 프로그램의 대부분을 지하에 배치하여 지상에 노출되는 건물의 높이를 낮추고, 평면적으로도 적절한 크기로 분절하여 경관적으로 수원화성이 매몰되지 않도록 존중하는 태도를 취했다. 지상으로 돌출한 메스의 상부를 대지 내부의 길과 연결하여 시민들이 시간의 제약 없이 부지의 대부분을 공원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성곽 건축의 특징과 벽돌이라는 재료로 완성시킨 18세기 모던 디자인 등과 같은 수원화성이 가지는 특징적인 조형언어를 추출, 재해석하여 계획안에 반영하고,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목구조 방식을 현대적으로 적용한 중목구조를 적극 사용하여, 건물의 내․외부에서 수원화성과 시각 조형상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