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삼릉, 어제의 오늘 오늘의 내일

수상 우수상
출품자 김은하수
소속대학 충북대학교 건축학과 5학년
설계개요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위치한 삼릉줄사택은 병참기지화현장에 동원된 한인노동자들의 숙소로 사용되던 곳이다. 역사적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도시의 발전에 따라 점차 철거되어 장소성과 의미가 퇴색되고 잊혀져 가고 있다. 이 아픈 기억이 다시는 발발되지 않고 더 나아가 지속가능한 도시를 추구하기 위해 새로운 구조물을 더해 근대문화유산과의 공존을 제시하고자 한다.
작품설명 줄사택은 20제곱미터 남짓한 유닛들이 붙어 있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일방향적인 형태와 공간으로 사람들의 삶을 제한시켰다. 이를 주변 상황에 따라 주민들의 주거공간과 맞닿아 있는 곳, 줄사택이 위치한 곳, 외부인의 행위가 많이 일어나는 곳 세 가지로 zone을 나누었다. 주민들의 일상과 외부인의 공간이 어우러져 삼릉이라는 동네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했다. 줄사택은 보존을 통해 추모관 및 전시관으로 만들었다. 줄사택을 유닛으로 분리하여 한 쪽은 재현과 보존을 통해 전시를 하고 한 쪽은 재해석을 통해 유닛 크기의 새로운 매스를 만들어 추모하고 기억하는 공간을 만들었다. 기존의 한 방향으로만 제시되었던 동선을 탈피하여 매스의 움직임을 통해 새로운 동선을 생성하였고 더 나아가 현대적인 의미를 담아 영역을 분리해주며 줄사택을 새로운 공간으로 제안하는 새로운 구조체를 만들어주었다. zone 1은 주거영역과 맞닿아 있는 공간으로 주민들의 일상과 삶을 담아 내는 공간을 만들고자 하였다. zone 3은 외부인들의 활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었다. 이 세 가지의 zone들이 외부공간을 통해 연결되고 연계되어 하나로 어우러지는 동네를 만들고자 하였다.
지도교수 이상훈
지도교수 작품평 본 작품은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자 숙소인 ‘줄사택’을 현대의 주변상황에 맞게 재해석하여 리모델링한 작품이다.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위치한 삼릉줄사택은 일제강점 말에 병참기지화의 현장에 동원된 징용자들의 거주지였으나 현재는 개발과 철거로 인해 떠나간 소외된 곳이다. 역사적인 장소인 줄사택은 20제곱미터 남짓한 유닛들이 붙어있는 형태로서, 병참기지화에 동원된 한인 노동자들의 숙소라는 점에서 보존할 가치가 있다. 일방향적인 단순한 형태와 공간이 사람들의 일상을 제한시켰다면, 현재의 일상과 삶을 다양하게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하였으며 근대문화유산과 도시주거 사이에서 지속가능한 도시를 추구하기 위해 근대문화유산과의 공존을 제시하고자 한 점이 우수하게 생각된다. 이 작품은 10개의 유닛이 붙어 있는 줄사택 형태를 부분적으로 유닛으로 분리하여 한 쪽은 재현과 보존을 통해 전시를 하고, 다른 쪽은 재해석을 통해 유닛 크기의 새로운 매스로 추모와 기억의 공간을 만들었다. 기존의 일 방향으로 동선을 탈피하여 새로운 동선을 생성하였고, 더 나아가 주변 주민들의 요구와 동선을 고려한 영역으로 분리하여 줄사택을 새로운 커뮤니티 공간으로 계획안을 제시한 점이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