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Hi Line Busan

수상 우수상
출품자 강승엽
소속대학 충북대학교 건축학과 5년
설계개요 설계의 배경이 되는 부산광역시는 과거 일제 수탈의 도구로 도시 전역에 깔린 철도로 인해 발생하는 단절을 원인으로 한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 중 부산진구에 위치한 마을은 고가철도로 삼면이 둘러싸여 오랜 시간동안 도시의 외딴 섬과 같은 형태로 존재해왔다. 부산광역시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여 경부선 철도 지하화를 주된 목표로 하는 부산 10대개조 계획을 발표하여 철도 노선을 재편성하여 일부를 지하화하고 남아있는 철도는 도시 재생의 근간으로 활용하려한다.
작품설명 마을을 둘러싸는 높이 약 4.5m의 Y자형 고가철도가 고가 보행로로 전환될 경우 주변의 생활권을 이어주는 보행네트워크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고가철도의 중심지인 마을에 인근 생활권 사람들이 모여 교류할 수 있는 시설을 계획하고자한다. 시설의 주된 프로그램은 교류를 위한 방법으로의 교육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며 공통의 관심사, 취미를 배우고 어울려할 수 있는 공간, 교육자와 비교육자의 활발한 교류가 일어나는 공간으로 사용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마을주민과 방문객을 대상으로 교육생 주체의 볼거리 및 이벤트를 제공하고 자연스럽게 문화교육을 장려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결과적으로 지역 주민들이 편하게 쉬고 배우며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지도교수 이상훈 교수님
지도교수 작품평 본 작품은 철도로 인하여 단절되고 소외된 지역을 건축적으로 개선하여 주변 마을과 교류하면서 문화교육의 중심 장소로 만들려고 한 작품이다. 설계의 대상지인 부산에는 과거 일제 수탈의 도구로 도시에 깔린 철도로 인한 단절로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 중 부산진구 부암동에 철도로 삼면이 둘러싸인 이 마을은 오랜 시간동안 도시의 외딴 섬과 같은 형태로 존재해왔다. 이 마을을 둘러싸는 높이 약 4.5m의 Y자형 고가철도가 고가 보행로로 전환될 경우 주변의 생활권을 이어주는 보행 네트워크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서, 고가철도가 가진 공간적 특징을 활용하고 인근 대지의 시설과 연계하는 방식을 통해 인근 생활권 사람들이 모여 교류할 수 있는 교육커뮤니티시설을 계획하고자 한 것이다. 마을주민과 방문객을 대상으로 볼거리 및 이벤트를 제공하고 자연스럽게 문화교육을 장려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지역 주민들이 배우며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본 설계는 버려지게 되면서 도심의 단절을 유발했던 기존 경부선을 중심으로 설계를 진행하여 단절된 생활권을 연결해주는 교류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계획안을 제안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