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The Breathing Library (전포동 복합문화시설 계획안)

수상 우수상
출품자 김리현
소속대학 동의대학교 건축학과 4학년
설계개요 도서관을 메인 프로그램으로 한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설계 대안 계획. 오로지 책을 읽을 수 있는 도서관이 아닌 사람들이 편한 차림으로 집 앞의 슈퍼를 가듯이 들릴 수 있는 도시 내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며 유니버설 디자인을 통한 다양한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동선계획과 피난계획에 대한 방안을 나타낼 수 있는 설계 디자인
작품설명 The Breathing Library, 말 그대로 숨쉬는 도서관으로 전포동의 빽빽한 건물들 사이의 좁은 대지의 높은 타워형 건물을 통해 대지의 공간을 확보하며 동시에 막혀 있는 시야를 틀 수 있는 외부 테라스 공간을 건물 중간 중간에 위치시켜 육체적으로 이용자가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으며 동시에 건물 내의 보이드적인 공간을 통해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간접적인 연결과 함께 동시에 사이트 근방의 송상현 광장과의 식물을 통한 녹지성을 연결시켰으며 이렇게 공간적으로도 경험적으로도 숨 쉴 수 있는 공간을 접할 수 있게 하여 The Breathing Library를 계획하였습니다.
지도교수 원호성
지도교수 작품평 최근 도서관의 기념이 바뀌어가면서 기존에 제1열람실, 자료실 같은 기능으로 이루어진 도서관이 아닌 공공의 기능이 확장된, 그래서 그것이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그런 오픈된 도서관으로 바뀌어 가지만 최근 사람들에게는 기존의 도서관보다 오히려 대규모 서점이 도서관의 원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시민들을 위해서라도 민간의 영역이 아닌 공공의 기능을 가진 도서관은 반드시 존재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기존의 도서관의 개념에서 탈피하여야 한다. 이에 본 프로젝트인 The Breathing Library, 숨쉬는 도서관은 개방적인 공간에서 보이드를 통해 다양한 행위들이 일어날 수 있게 잠재성을 남겨 놓았으며, 또한 내부 식재들을 통해 숨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기존의 도서관의 기능에서 탈피하여 휴게공간의 영역과 복합문화시설의 영역 그리고 도서관의 영역을 자유자재로 이동하고 있다. 전포동의 고밀한 건물들 사이 좁은 대지에 타워형 건물을 통해 대지의 공간을 확보하며 동시에 막혀 있는 시야를 오픈시키는 외부 테라스 공간을 내부에 위치시켜 이용자가 내부이지만 외부에의 휴식공간과 동시에 내의 보이드를 통해 내 외부 연결성이 본 프로젝트의 기대요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