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일상의 Public Space, 부산

수상 우수상
출품자 이지원
소속대학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설계개요 대지위치 : 부산광역시 부산항 북항 중앙부두 오페라하우스 부지 대지면적 : 29,542m2 용도 : 문화 및 집회시설 층 수 :
지하 2층, 지상 6층 건축면적 : 17,500m2 건폐율 : 59.2% 용적율 : 220% 객석 규모 : 대극장 1500석, 소극장 600석
작품설명 부산항 오페라하우스가 공연 관람자가 아닌 일반인에게도 아름다운 경관을 바라보기 위해 방문할 수 있는 일상의 Public Space가 되기 위한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오페라하우스는 공공건축물임에도 불구하고 주 공연이 대중적이지 않다보니 클래식 공연 애호가나 관 계자들만의 공간으로 한정되어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부산항과 같이 바다를 향해 열린 아름다운 뷰를 가진 대지에서는 이러한 공공재로서의 경관을 모두가 함께 향유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오페라하우스 건물 외부공간 뿐 아니라 내부공간까지도 일반인들의 여가와 사회적 만남이 가능 한 Public Space로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본다. 2022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부산광역시 부산항 오페라하우스 부지에 제안한 본 설계안은 첫째, 공간적 폐쇄성이 요구되는 실내 오페라공연공간을 둘러싼 벽체는 솔리드하게 설계하는 반면, 이 를 둘러싼 오페라하우스의 외피는 투명한 유리로 계획하여 투명한 유리 너머 오페라공연공간의 벽체 가 건축물 밖으로 뚜렷하게 드러나도록 조성하였다. 투명한 유리 외피는 시지각적인 개방감을 조성하 고 오페라공연공간의 솔리드한 벽체는 오페라공연공간과 로비공간을 오가는 공연 관람자에게 공간의 전이를 경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둘째, 오페라하우스가 Public Space로서 공연 관람 계획이 없는 일반인에게도 출입이 개방되어 있음을 시지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외부공간에서 내부공간으로 이어지는 동선을 다양화하였다. 야외 대형계 단 및 건축물 내 · 외부에 다양한 수직 동선을 배치하여 투명한 유리를 통한 시각적 소통뿐 아니라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조성하였다. 셋째, 오페라하우스의 후면이 기능적인 측면에서 디자인되는 경향에 의문점을 제시하고, 바다를 향한 오페라하우스의 정면과 방문자들이 주 접근경로를 통해 다가오면서 마주하게 될 오페라하우스의 후 면, 주변에서 오페라하우스를 바라볼 사람들 등을 모두 고려하여 오페라하우스 모든 방향의 입면 이 미지가 동일하게 아름다울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오페라하우스가 부산항 오페라하우스 부지와 같이 바다를 향한 아름다운 뷰를 가진 대 지에 놓일 때 오페라공연관람을 위한 공연장이자 누구에게나 아름다운 뷰를 조망하고 여가와 사회적 만남이 가능한 Public Space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그 결과를 “일상의 Public space, 부산”으로 제언하였다.
지도교수 유다은
지도교수 작품평 오페라하우스는 공공건축물임에도, 실제로는 모든 사람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기보다는 오페라 공연을 보고자 하는 사람들과 그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사람들만 이용하는 시설이기 쉽습니다. 공공건축물의 ‘공공성’ 문제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담아 이를 건축적·도시적 해결방안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 프로젝트를 대한건축학회 학생작품전에 추천합니다. 이 건물은 건물내부의 높은 층에서 아름다운 바다경관을 볼 수 있는 특별한 위치에 지어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오페라 관람객들에게만 제공되던 상층부 공간을 모두가 함께 누리는 공공공간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가 프로젝트의 핵심이라고 보여집니다. 다시 말해, '공공재로서의 경관’을 구현하고자 로비와 휴게공간의 기능을 건물의 최상부까지 확장하였으며, 또한 사방으로의 뷰를 극대화하기 위한 원형의 건물의 형태와 내외부 외피설계가 이러한 의도를 극대화 하고 있습니다. 한편, 이 학생은 2019년 춘계학술발표대회에서 “공연문화시설의 외피 투명도와 내부 공간영역 프로그램의 관계성 분석”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학술발표대회논문을 발전시켜 리서치와 연계한 디자인 작업이라는 점에서 더욱 우수하다고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