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공공적 이질성

수상 최우수상
출품자 박창균
소속대학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5년/건축학과 5학년
설계개요 Prologue 밀도-한계에 다다른 서울 속에서 공허하게 비워져 있는 개발 초기의 환승주차장, 차량이 온전히 점유하던 장소라는 점에서 이미 '일시적인 장소' 였지만, 서울의 팽창과 함께 장소가 도심화되면서 도로 혹은 건물에 가로막혀 '고립적인 장소' 가 되었다. 사람이 찾지 않는 비-장소적인 성격을 가진 환승주차장은 장소를 존속시키던 기능이 약화된 채로 그대로 폐허가 되었다. 그 중에서도 동작역 환승주차장은 북측으로는 한강공원을, 그리고 남측으로는 현충원이 에워싸고 있다. 두 장소 모두 거대하고 광활하게 열려있는 장소로써 지나치게 외부-지향적이다. 동시에 각각의 장소는 대립적인 분위기와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 사이에서 동작역 환승주차장은 충돌하는 풍경을 지니고 있다. 도시와 삶, 묘지와 죽음, 자연과 문화라는 다양한 대립항들이 공존하는 주변의 맥락 속에서 대상지의 기능과 공간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상상한다.
작품설명 Imagine 비-장소가 가지는 일시성이 장소에 뿌리내린 공공적 이질성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상상한다. 충돌하는 맥락 속에 자리 잡은 장소에 이질적인 기능과 분위기가 공공성을 지닌 채로 스며들 때, 일시적으로 스쳐지나가던 장소가 지속적으로 방랑할 수 있는 장소가 된다. 이질적인 것을 계속해서 마주친다는 것은 강화된 마찰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고 이는 장소를 경험하는 속도가 점차적으로 느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게 공공적 이질성이 뿌리내린 새로운 장소는 경험의 시간과 빈도가 늘어났고 새로운 기억이 생성되며 잊고있었던 과거의 기억이 강화되었다. 이전의 폐허가 된 장소는 새로운 장소성을 획득한다.
지도교수 김성욱
지도교수 작품평 본 작품은 도심의 경계부에서 기능을 잃은 기반시설에 대해서 적절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새로운 공적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조화롭게 이루어낸 점이 특징인 작품입니다. 대상지 주변의 도시 조직과 환경을 관찰하여 도출한 프로그램, 다양한 레벨의 차이에 의한 수직적 단절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한 새로운 접근성, 기능과 외부공간의 사이에서 다양한 공간의 켜를 만들어내는 불확정성 공간에 대한 개념의 창안과 공간구성에 대한 논리적인 사고를 높이 평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