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Urban Machine Activator

수상 우수상
출품자 김도영
소속대학 조선대학교 건축학과 5년
설계개요 과거의 금재로는 광주의 생산을 하는 대표적인 공장 제조업 지역이었다. 과거의 광주역과 함께 광주 내의 금재로 일대는 사람 그리고 기계도 같이 노쇠되었다. 또한 AI와 4차 산업에 비해 굉장히 약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또한 광주의 도심 이전과 인구 유출로 성장이 멈춰버린 도시가 됐다. 여기에 광주내의 공장지구인 하남으로 줄곳 공장들이 이전을 하게 되었고 큰 공장들은 이전한 상황에 기능을 상실한 지역으로 아파트 재개발지구로 선정되어 마을이 사라질 위기이다. 하지만 현재의 기능을 새로운 것들이 대처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광주 내에 철을 소재로한 일인제조지구를 대처 할 수 없는 실정이고 이런 상황에서 사이트 자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작업이 필요했고 현재 대지는 제조과정에서 버려지는 것들을 건물 내부에 그대로 방치 되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국, 지역 자체가 특수성으로 인해 고립화 되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버려진 것들로부터 금재로 일대 지역 생태계의 순환을 통해 재활용 사업을 재조명 하고자 하였고, 신기술이 기존의 다양한 제조산업 및 커뮤니티와 연결되는 지역자생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작품설명 광주 유일한 제조지구 금재로는 과거를 기억하는 것들이 많이 남아있다. 구도심의 발전의 향기를 그래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버려진 기계, 공가 등이 그대로 존재하고 있고 남겨진 것들이 그들의 삶을 대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과거와 달리 소량의 생산만 이루어지는 광주내의 유일무이한 철제 제조지구이다. 제조, 산업 그리고 예술 프로젝트는 정체된 제조지구를 통해 금재로의 정체성 회복 및 활성화를 목표로 둔다. 금재로는 소량의 산업과 제조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부산물들은 쌓여만 가고 기능적인 쇠퇴와 버려질 것들의 누적으로 인해 지역이 곤욕을 치르고 있다. 버려질 것들을 재 활용하여 지역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역의 특색을 도출하여 공간들의 성격을 부여하고 도출된 성격들은 하나의 엔진과 같은 기능을 한다. 현 도심이 잃어버린 엔진을 부여하는 것이다. 새로운 흐름은 ‘예술’이라는 포용적 문화를 가지고 온다. 예술은 잠재성을 가져오기 위해 금재로의 특성을 고려한 공간을 생성한다. 따라서 지역성을 고려한 공간 계획을 통해서 지역에 필요한 산업을 재조명하고 위축 되어진 구도심의 제조지구를 광주 내의 유일한 일인 가공 제조지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도교수 장동국
지도교수 작품평 본 졸업설계의 대상지는 광주광역시 구시가지에 남아있는 몇 안되는 소규모 기계 금속 가공업체들이 밀집해 있는 곳이다. 이곳은 산업화 시대에 번창했던 이후 인근 광주역이 폐쇄되고 시 외곽에 산업단지들이 건설됨에 따라 급격히 쇠락하고 있기에 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작금의 무미건조한 도심재개발을 지양하기 위해 땅에 기억된 질곡의 역사를 공방문화로 되살리는 것은 어찌보면 우리에게는 시대적 사명과도 같다. 본 졸업설계는 산업시대의 유산을 형태와 기능의 변용을 통해 제조업 중심의 공방문화로 재생산함으로서 구도심 재개발의 진정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엔진 역할을 담당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대상지의 공간질서를 유지하면서 공장과 창고의 단순한 형태와 스케일을 새로운 디자인의 모티브로 재생산하려는 노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저층의 비교적 커다란 공간은 전시, 세미나, 판매, 정보교환 등의 공용공간과 함께 철제 가공 중심의 공방들은 그 위에 배치하여 상호 유기적인 기능이 도모되도록 하였다. 중층 이상은 공방 운영자들과 기타 관련된 청년들의 숙소로 계획함으로서 청년에 의한 ‘청년공방문화발전소’의 뜨거운 열기를 주변 지역으로 발산하려는 의지를 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