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TURNING POINT

수상 우수상
출품자 조인경
소속대학 경상국립대학교 건축학과 5년
설계개요 [원스톱라이프를 적용한 근로정주환경 조성계획] 주거와 상업, 공업시설이 혼재된 지역의 중심에 위치한 계획대지에 복합문화형 근로자 기숙사를 계획함으로써 청년, 근로자, 지역주민들이 함께 어울리게 되고 근로자의 정주여건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지역과 소통시켜 사람들의 삶을 담는 그릇으로 성서의 중심이 될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한다. 지하철을 이용하고자하는 사람의 지름길로 쓰이거나 광장에서 휴식을 취하고 문화시설을 이용하는 지역주민들, 일을 마치고 집으로 향하는 근로자들, 꿈을 찾기 위해 창업센터를 방문하는 청년들까지 모든 이용자가 모여 계속된 보행자의 움직임으로 커뮤니티가 끊이지 않는 공간이 되길 기대한다.
작품설명 코로나19를 직면하면서 위기를 맞은 성서산업단지는 산단대개조를 통해 노후화된 도시와 감소된 인구를 회복시키고자 한다. 하지만 근로자들을 위한 정주환경은 조성되지 못한 상황이다. 대지 전면에 교통이 좋고 주거, 상업, 공업의 혼재지역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임을 고려하여 목적이 다른 이용자층을 한 곳에 모아 소통을 시키기 위한 접점의 공간으로써 대구 성서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접점의 공간은 3가지의 형태로 나타난다. 자연스러운 길로 동선을 유도하고 머무를 수 있는 광장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마주치고 어울릴 수 있는 사회성을 실현시키고 수직적으로 확장되는 브릿지를 통해 프로그램들과 연계되어 외부공간을 형성한다. 코로나19와 함께 위기를 직면한 성서산업단지는 큰 도로를 벽으로 주거, 상업지역과 혼재되어 있으면서도 단절되어 있었다. 성서의 경제 주축임에도 불구하고 공업단지는 부정적 인식이 있을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원스톱라이프센터를 통해 활용되지못하고있던 땅을 재생시켜 주거, 공업, 상업지역을 이어주는 노드점의 역할을 하고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솔루션이 각자의 일상을 보내면서도 다른 사람의 일상을 공유하게되는 그러면서 서로에 대해 알아가고 이해하는 커뮤니티를 유발할 수 있는 터닝포인트로 작용하기를 기대한다.
지도교수 김근성
지도교수 작품평 이 프로젝트는 팬데믹으로 인해 변화를 맞이한 성서산업단지와 주·상·공업시설이 혼재된 지역의 중심에 단절된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 시작되었다. 직주근접방식이 근거가 되는 원스톱라이프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업무, 주거, 문화시설의 복합된 새로운 공간을 계획하여 근로자의 정주여건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지역 커뮤니티 회복을 제안한다. 특히 주거시설은 지역특성에 맞게 근로자들을 위한 주거공간을 계획하여 차별화를 주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복합시설이 될 수 있는 시설에 특색을 주어 풀어나갔다. 성격이 다른 세가지 시설을 Public space와 Private space로 분리하면서 복합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각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상호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깊었으며 또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를 이루기 위한 고민이 있었다. 이는 'street'가 곧 'plaza'로 확장되는 새로운 개념과 프로그램과 외부공간 간의 연계를 'bridge'라는 건축적 공간으로 풀어나가며 흘러가는 커뮤니티가 아닌 머무르고 지속가능한 커뮤니티가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을 실현한 우수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