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교통(交通)유휴시설을 커뮤니티 소통(疏通)의 공간으로

수상 우수상
출품자 박미지
소속대학 한국교통대학교 건축학과 5학년
설계개요 도심 속 버려진 교통 유휴공간을 지역문화커뮤니티 거점으로 활용한다. (구) 공주시외버스터미널의 광활한 유휴부지와 건물을 도시공간과 연결하여 지역주민들의 소통공간으로 설정하고, 수변공원과 기존건물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community 공간을 제안한다
작품설명 공주시 신관동에 위치한 (구) 공주시외버스터미널은 과거에 공주의 중심이었지만 터미널이 이전하면서 도시의 흉물로 남아있고, 도시의 가장자리인 강변에 위치하여 자연스럽게 인구 유입이 단절되었다. 도시 끝에 자리하고 있어 상업적으로 활발하게 이용되기 어렵고, 특정목적 외에 접근하지 않는 지리적 특징이 있다. SITE는 도시에서 물리적으로 큰 공간을 차지하지만 기능적으로 유령처럼 존재하고 있다. 공주시는 대학생과 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어있지만 지역 구성원들이 소통,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있지 않다. 현대 사회에서 지역 구성원간의 커뮤니티는 공동체 문화발전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통의 공간으로 community library를 제안하여 학습센터, 사회 구성원과의 교류 등의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하고, 사이트 주변으로 자연스럽게 확장하여 공주시 지역 문화 활성화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한다. 저층부 작은 단위의 mass에 public 프로그램인 주민복합센터와 어린이 도서관, 다목적 홀 등의 프로그램과 함께 sunken 중앙광장과 금강공원을 연결하고 상층부에 less public 프로그램과 청소년 학습센터 등의 프로그램을 문화배움터와 대학연개형 동아리실을 연결한다. 또한, site와 수변공간을 연결하는 육교를 대체해 입체가로를 형성하고 지하를 통해 금강공원과 물리적으로 연결한다. site의 기존 건물은 단절의 공간이 아닌 도심과 자연을 연결하는 매개 공간으로써 활용한다.
지도교수 이진석
지도교수 작품평 본 학생의 사이트는 (구) 공주 시외버스터미널로 공주시 도심과 금강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해당 사이트는 금강과 도심을 연결하는 매개 공간이지만 그 기능을 상실하여 현재는 도심 속 장벽처럼 자리하고 있다. 새로운 종합버스터미널이 사이트 블록 내에 새롭게 건설되면서 기존의 5층 규모의 건축물은 대부분 공실인 상태로 남아있다. 본 작품은 기존 건물의 공간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새로운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으로 활용한다. 도심과 금강공원을 가로막고 있던 기존 건물의 지하를 통해 물리적으로 금강공원과 연결하여 새로운 동선을 유도하고, 동시에 공공공원의 기능을 도심 안으로 끌어들인다. 또한 해당 지역의 부족한 주민복지시설과 도서관, 공주대학교와 연계하는 공유 공간 등의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커뮤니티 거점 공간을 제안한 것이다. 이와 함께 기존의 유휴부지를 도시 맥락과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고자 하는 도시적 측면에서도 우수한 작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