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AIR LAYER : MARKET_전통시장 공간과 드론생태계의 공생

수상 최우수상
출품자 최원재
소속대학 울산대학교 건축학과 5학년
설계개요 전통시장이라는 공간은 해당 지역의 역사, 커뮤니티, 상업 등과 같은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다. 하지만 지역의 큰 재산인 전통시장 상업공간은 펜더믹의 영향으로 쇠퇴와 소멸의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졌다. 전통시장의 쇠퇴한 공간구조를 현시대 흐름에 맞추어 활성화하기 위해 드론생태계를 적용한다. 드론생태계는 전통시장과 결합하여 좁고 비위생적인 상업구조를 더 높은 layer로 퍼뜨릴 수 있다. 입체적으로 배치된 드론 결합 상업 공간들은 빠르게 변화하고 강한 네트워크를 가진 이커머스 또는 대형상업 공간에 대응 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작품설명 쇠퇴와 소멸이 더 가속화된 울산의 언양전통시장을 다시 발전시키기 위해 드론물류생태계를 적용하여 두 공간의 공생관계를 제안하였다. 전통시장 공간과 드론생태계는 투명한 메가스트럭처를 통해 언양시장 저층부엔 다양하고 쾌적한 복합상업공간을, 상층부엔 드론물류관련 공간을 구축하여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신선한 상품을 배송받을 수 있는 광역 네트워크를 만들어준다. 전체적인 구조, 설비, 동선은 메가스트럭처가 중심이 되며 저층부는 언양시장이 가진 다양한 상업공간의 맥락을 확장시키고 상층부는 리서치를통한 드론배송, 드론택시 정거장 그리고 상인회와 드론연구시설과 같은 프로그램이 배치하였다. Step lounge는 상층부의 전체적인 프로그램을 관통하는 수직동선이자 복합 휴게공간이다. Step lounge는 휴게공간 또는 드론과 시장의 공생을 위한 단순한 세미나 성격의 공간이 아니며 일상에서 흔히 접하지 못하는 드론물류 공간을 공공공간에 시지각적으로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구성과 배치를 고려하였다. 이러한 중심공간의 성격을 언양시장 아케이드 방향으로 퍼져나가도록 하여 장터길과 아케이드가 연결되는 드론배송이 가능한 공간을 점진적으로 배치하였다. 전통시장의 공간 구조와 드론생태계의 공생은 지역주민들과 방문객들에게 미래의 상업공간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제시한다.
지도교수 이재민
지도교수 작품평 역사적으로 건축과 도시는 기술의 발전으로 반영해왔다. 본 작품은 교통수단의 발전과 유통산업의 변화를 예측하여 건축과 도시공간에 미칠 영향을 건축적으로 해석하였다. 쇠퇴하는 전통시장에서 드론이라는 새로운 교통수단을 이용해 소비자와 상인을 직접 연결하여 시장의 활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울산광역시 언양시장에 적용하여 원거리 유통 드론 이착륙장, 유지관리 시설, 유통생산시설과 전통시장을 결합하는 hybrid infrastructure를 만들어냈다. 학생으로서 신선하고 상상력 넘치는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건축적으로 잘 표현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