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회현로

수상 우수상
출품자 인진우
소속대학 건국대학교 건축학과 4학년
설계개요 서울의 명소에 둘러싸여 있지만 회현동이 그들과 어우러져 있다고 생각하진 않았다. 일대 위치의 특성상 거주하는 사람들은 연령층이 높아만 가고 사람들은 그 동네를 떠나고 있다. 오가는 사람들의 대다수는 유동인구로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사이트를 분석하였고, 주위 명소들과 더불어 회현동에 생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적합한 프로그램을 고민하였다.
작품설명 회현동 일대에는 남산, 서울역, 명동, 남대문 등 서울의 관광지 및 명소들이 자리잡고있다. 그 사이에서 회현동은 높은 경사와 문화시설의 부재, 남산 앞의 옹벽 등으로 인해 어디에도 어울리지 못하는 공간이 되어있다. 복합문화시설은 근래 들어 젊은층을 포함하여 다양한 사람들에게 중요한 공간으로 부상하고 있다. 취미로 문화 예술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전시도 늘어나고 있다. 근래에 picinic이라는 복합문화시설이 회현에 생겨났고 많은 사람들이 찾는 장소가 되었다. 이 사례만 보아도 문화시설이 가지는 힘을 알 수 있다. 이번 설계 프로젝트에서 갤러리를 주축으로 한 복합문화공간 및 호텔을 계획하여 서울 중심 명소들을 회현동에 연결하려 한다. 여행, 업무, 여가시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오는 사람들에게 회현동이 하나의 연결점이 되기를 원했다.
지도교수 주범, 신종환
지도교수 작품평 회현동은 남산의 북사면 중의 일부로서 대지는 남산순환도로 북사면 아래쪽과 명동에 인접하고 있다. 명동부분과 가까운 곳은 인구유동이 많고 젊은 공간이나 남산쪽으로 올라갈수록 서울시가 내려다 보이는 지형학적 매력은 있으나 사람들이 많이 찾지 않는 오래된 공간이다. 이곳에 사람과 남산, 그리고 서울 도심을 연결하여 도시의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보는 것이 본 프로젝트의 주목적이다. 외국인들의 접근이 많고 젊은이들이 옛 정취에 흠뻑 빠질 수 있는 명소를 비정형형태로 접근하였으며 호텔과 복합문화상업시설을 배치하여 메인 갤러리를 따라 크게 한바퀴 돌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연결된는 매력적인 공간을 만들었다. 전시공간은 공중에 뜬채로 창을통해 외부와 연결되어 특별한 공간의 위치를 부여하고 전시가 끝나는 지점은 대지와 마주하여 자연스레 내외부 다양한 공간에서의 휴식을 유도했다. 호텔부분 또한 비정형의 일부로 해결하여 다양한 공간을 제공하며 새로운 숙박을 경험하는 멋진 형태로 만들어졌다. 남산의 지형을 건축물의 형태로 살리며 비정형 형태를 전시공간과 복합문화상업공간으로 형상화 하였으며, 멀리서 보이는 조형적인 이미지는 침체되고 있는 회현동의 명소로서 자리잡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