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 |
우수상
|
출품자 |
오창훈
|
소속대학 |
대전대학교 건축학과 5년/건축학과 5학년
|
설계개요 |
도시는 늘 물과 함께 존재했다. 서울에게 있어 한강은 도시의 큰 축과 방향을 나타내며 도시민들에게 자연요소를 제공하며 휴식과 문화공간이 되어 왔다.
도시의 발전과정에서 물의 활용은 점차 쇠퇴하며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서울의 중심 한강을 더욱 발전하며 대표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
작품설명 |
정지되었던 한강 개발 사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 문화 거점을 형성하고 생성된 거점을 이을 수 있는 수상교통을 겸비한 관광지가 필요하다. 이에 한강의 중심대권역에 위치한 여의도를 대상지로 선정했다.
대상지는 도시공간과 수변공간이 이어져 있고 여의나루역과의 연계 가능성이 있어 접근성이 매우 높다. 또한 서울의 업무 중심지이며 중심대권역으로 한강 전체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유리하여 주변과의 연계성을 강화할 수 있고 나아가 인천과의 연계로 서울을 넘어 중국까지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접근하여 휴식과 문화공간을 이용하는 편안하고 부드러운 이미지와 여객터미널을 통해 서울로 진입하는 관광객들이 느끼는 랜드마크로써 강렬하면서 흐르는 이미지가 공존하며 두 개의 얼굴을 형상하는 디자인을 유도했다.
야외공연장을 중심으로 전체를 감싸며 자연스럽게 흐르는 강의 이미지를 선적으로 표현한 파사드를 이용하여 강렬하면서 유연한 디자인을 유도했습니다.
문화공간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지상과 수상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문화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경계를 모호하게 하여 매 순간을 체험하는 공간으로 유도했다. 벽이나 유리로 가려진 통로를 지나면 어느센가 수상공간에 들어서 있다. 관리자 동선을 제외한 모든 곳은 출입에 제한이 없어 여객선을 이용하는 시민이나 관광객이 불편함을 겪지 않게 모든 곳을 가기 위한 동선이 자유롭다. 또한 여의나루역과 연계하여 여객터미널의 승하차장에서 자연스럽게 역으로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했다.
|
지도교수 |
홍윤기
|
지도교수 작품평 |
국제도시로서의 서울이 가지는 지정학적 위상과 한강이라는 환경적 특징을 연계하는 복합시설 제안으로서 본 작품이 가지는 특징은 육상과 해상을 잇는 연결 허브로서의 역할을 매우 유기적으로 풀어낸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프로그램적으로는 훼리 터미널이라는 공공 교통시설이 한강 시민 공원을 직접적으로 이어주기 보다는 문화, 상업 시설들을 통한 우회 연결 방식을 통해 새롭고 다양한 감각적 체험의 루트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면밀한 접합의 구성 방식은 유동적 구조 시스템과 더불어 매우 역동적인 형태 조합을 통해 복합적인 공간 구성으로 귀결되도록 계획한 흔적을 드러낸다. 무엇보다도 다소 광역적 개념 설정이 가져다 주는 피상적인 계획의 한계에서 벗어나 도시 인프라 구조의 일부분으로서의 랜드마크가 실질적이고도 능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세밀하게 계획한 점에서 건축이 가져야 할 공공적 기능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이해하고 계획한 노력을 잘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