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흑석에서 한강으로의 길

수상 우수상
출품자 성유주
소속대학 아주대학교 건축학부/건축학과(5년) 5학년
설계개요 과거에서부터 건축은 도시의 맥락과 흐름에 상호작용하면서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다. 현재 흑석동은 한강 변에 자리 잡고 있어 한강 변 개발계획의 수혜를 보는 지역이다. 하지만 흑석에서 한강으로 향하는 통행로는 한 곳뿐으로 그마저도 재활용 쓰레기 집하장과 함께 있어 진입경관이 좋지 않다. 아울러 흑석역 주변은 현재 한강 변임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주변 정비가 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대상지는 흑석동 사람들의 한강으로 향하는 통행로를 만들어 주고, 효사정 일대에 힐링 공간을 조성한다. 수도산의 밀도 있는 주거단지부터 구릉지인 대상지까지의 스카이라인은 마치 한강을 향하는듯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대상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에 자전거도로, 산책로, 역세권, 주거단지, 초등학교가 자리 잡고 있다. 대상지의 프로그램은 `Program to Program`으로 결국 대상지는 사람들의 다른 행위에서 출발한 프로그램들도 섞이고 녹아드는 문화 프로그램들이 생성된다. 방향성이 강한 길을 걷다 보면 길의 끝에 무엇이 있을까? 사람들은 이 길을 걸으며 마주 볼 한강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질 것이다. 이는 고가도로로 인해 한강 변의 시선 차단을 극복해내는 과정에서 한강이 보일 때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고가도로만 보이는 좁은 길을 걷다 한강이 보이는 넓은 마당을 마주했을 때 사람들은 한강뷰가 더욱 감명 깊게 느껴질 것이다.
작품설명 현재 흑석동과 한강은 매개 장치가 없다는 점과 고가도로로 인한 한강으로의 시선 차단, 지역의 입장에서는 역세권 퇴화와 노후화된 시설들을 들 수 있다. 이를 풀어나가는 방안으로 유일한 통행로인 대상지를 4가지 요소인 길, 마당, 구릉지풍경, 모듈로 제안한다. ‘길’은 흑석동과 한강 변을 연결해 주는 매개 장치가 되고 길이 만든 ‘마당’은 내외부 공간의 관계를 만들어준다. ‘구릉지풍경’은 계단형 메스 형태로 고가도로에 차단된 한강 변의 시선을 극대화해준다. `모듈`은 유동적인 상업 공간을 두어 흑석동의 역세권에 활기를 불어넣는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지역주민과 외부인, 학생들의 접점에 중성적 프로그램들이 상반되는 조건을 연결한다. 도서관 또한 하나의 긴 세로축의 메인 동선과 각층의 도서관으로 향하는 가로축의 동선이 있다. 방향성을 가진 세로축의 메인 동선은 외부인에게는 흑석동을 주민에게는 한강이라는 목적을 만들어준다. 도서관의 메인로비는 주민에게는 시작의 공간, 외부인에게는 마지막의 공간이 되어 모두가 거쳐 갈 수 있는 거점지가 된다. 도서관은 대비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층별의 다양한 테마공간과 프로그램을 만날 수 있다. 지하 1층의 도서관은 `밝음과 어두움` 특징을 가지고 있는 도서관이다. 길로 만들어진 마당이 관입되어 도서관 내부의 중정이 생긴다. 이는 지하의 어두운 도서관을 밝게 비추고 공간을 더욱 특색 있게 만들어준다. 단순한 동선으로 짜인 도서관의 구조는 공간을 더욱 콤팩트하게 만들어주며, 마당은 도서관 내부와 외부공간 사이의 관계를 형성해 준다.
지도교수 한지형
지도교수 작품평 본 작품은 도시공간의 연속적 체험이 가능하도록 한강과 흑석동 사이의 관계를 맺기를 시도했고, 도시 맥락의 형성과 연결을 통해 새로운 공공공간의 가치를 조화롭게 이루어낸 점이 특징인 작품입니다. 대상지 주변의 도시 조직과 환경을 분석하여 도출한 프로그램, 고가도로로 인해 한강변의 시선 차단을 극복해내는 과정에서의 접근성, 디자인 전략에서 또한 도시의 이야기를 담은 점 등은 타 작품들과 차별성을 가지는 요소들입니다. 집합적 도시건축의 해결방법이 매우 논리적이고 경사에 적절히 대응하면서도 이용자를 고려한 공간디자인이 합리적으로 제시된 점은 설계 작품의 완성도와 함께 높이 평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