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도심 속 멈춤 공간 (Urban Healing Space)

수상 우수상
출품자 박주호
소속대학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5년
설계개요 우리는 멈출 수 없다. 일상의 속도는 멈추지 않고 앞으로 흘러만 간다. 우리가 도시에서 집을 나선 뒤 만나는 공간들은 이동을 위한 공간일 뿐이다. 우리는 멈춤의 공간이 필요하다. 멈춤은 성찰의 순간이자, 휴식의 순간이며, 새로운 시작 이전의 순간이다. 건강한 도시공간을 위해서는 도시의 일상을 잠시 멈추는 공간이 필요하다. Querencia / Spielraum / Fast Healing 개념이 도입된 도심 속 머무름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생각에 집중하여 몰입한다. 위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멈춤에 대한 시나리오를 통해 공간의 흐름이 전개된다. 이용자의 선택과 경험에 따라 도시와의 거리감을 조절하며, 머무름이 심화되거나, 완화된다.
작품설명 머무름으로 채워진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건강한 도시에는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생각에 집중하여 몰입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빛과 물의 요소가 가지는 특성을 활용하고자 한다. 공간안에 자연과 도시를 적절히 담아내어 다양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도심 안에 존재하는 사색과 명상의 공간으로서, 도시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요소를 통해 도시와의 거리감을 조절한다. 위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머무름에 대한 시나리오를 통해 공간의 흐름을 전개한다. 선택과 경험에 따라 머무름이 심화되거나, 완화된다.
지도교수 한지형
지도교수 작품평 본 작품은 도시 안에서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느슨한 휴식과 자아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을 제시한 작품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부족한 소통과 몰입의 순간들과, 전례 없는 팬데믹 이후 찾아온 일상의 무기력함과 우울감을 치유하고 채워줄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도심 속에선 느낄 수 없었던 사색과 명상의 분위기를 건축에 대입하여 도시와의 소통을 적절히 조절하며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도시적인 관점에서도, 기존에 있었던 레벨 차이와 이용 대상들의 혼재로 인한 수직적 / 수평적 단절을 극복하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청계천과 도시를 이어주는 매개체로서 작용하여 도시 안에서도 자연과 도시와 사람이 소통하는 공간을 디자인하였습니다. 공간 안에 담긴 건축적 표현과 자연적 요소 간의 조화와, 공간의 비례를 활용하여 구성의 켜를 만들어내는 디자인 구성에 대한 탐구로 매우 훌륭한 설계안을 완성한 점을 높이 평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