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 |
우수상
|
출품자 |
황상하
|
소속대학 |
인덕대학교 건축학과 4학년
|
설계개요 |
이 설계의 주제는 크게 두 가지로 중력에 저항한다는 의미의 Beyond Gravity와 친환경이다. 중력에 저항하는 이미지를 위해 초승달 형태의 매스를 사용하여 중간층 부분에서 가장 작아지고 상층부로 갈수록 다시 커지는 형태를 취했다. 친환경의 주제를 위해 저층부에 계단 형태의 옥상 정원을 최대한 확보했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
작품설명 |
오늘날의 사회에서 취업난이 심각하고 청년 취업은 더욱 힘들다. 그렇다고 포기 할 수는 없는 일이다.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들을 위해 청년 창업 센터와 청년들의 편의를 위한 청년 주택을 계획하기로 했다. 해당 대지는 기존에 자동차 공업소와 세차장이 있었다.이 대지의 주변은 거주 지역과 상업 지역이 밀집된 곳이다. 하지만 주변에 사람들이 쉴 수 있는 공간과 이 지역의 랜드 마크가 될 수 있는 건축물이 부족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광장을 만들어 평소에는 근처 주민들이 쉬는 공간으로 사용하고 청년들의 아이디어로 만들어진 작품과 제품을 전시하거나 공연을 할 수 있는 광장, 건물의 어디에 있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연속된 옥상 정원을 만들고 건물의 고층부에는 스카이 라운지를 만들었다.이런 공간을 통해 주민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청년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청년들이 꿈을 향해 비상하는 모습을 표현해 랜드 마크로 만들고자 했다.
|
지도교수 |
송준호
|
지도교수 작품평 |
본 작품은 코로나로 인해 취업과 주택의 어려움으로 힘들어하는 청년들에게 미래의 비전을 제시해 주고 적극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공간을 제시하고자 계획되었으며 단순히 창업 지원과 주택에 국한하지 않고 상업 시설을 복합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수익도 창출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는 점에서 좀 더 현실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특히, 공공성을 강조한 외부 공간의 계획이 돋보이며 지상층 테라스를 활용함으로써 좀 더 친환경적 접근을 모색하고자 한 점이 부각된다. 또한 친환경적 요소의 적극적인 도입 예를 들어, 지붕층의 태양열 패널, 로이 복층유리의 사용, 더블 스킨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등은 미래 건축이 나아갈 방향을 잘 제시하고 있어 바람직한 접근으로 보인다. 외부 공간이 그저 내부시설자를 위한 공간이 아닌 외부인에게도 개방함으로써 건축의 공공성이 강조되고 있으면 외관 디자인도 뛰어나 지역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는데 손색이 없어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