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Yongsan border-point,line,plane

수상 우수상
출품자 김재원
소속대학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5학년
설계개요 <경계는 무엇인가?> 경계는 어떠한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애매한 성격의 독자적 영역으로 존재하여, 두 영역을 양분하는 동시에 분할된 두 영역이 관계를 가지게 되는 장소가 되기도 한다. 도시 내에서 대부분의 경계는 영역을 분할하곤 한다. 하지만 경계는 이 외에도 관계를 조정하는 매개체의 역할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대규모 공원에서의 다양한 경계부 조성의 필요성> 제인 제이콥스는 그의 저서에서 공원의 경계부가 각 공간들의 성격을 고려하지 않은 채 형성된다면 각 공간 간의 상호 교류가 일어나지 않는 경계 공백지대(border vacuum)가 형성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규모 공원의 경우 다양한 도시조직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각각의 도시조직의 성격과 공원 내부의 성격을 동시에 고려하여 그에 상응하는 경계부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작품설명 서울 안의 또 다른 도시와도 같았던 용산 기지 부지가 반환됨에 따라 서울 한복판에 전례 없는 대규모 공원이 생긴다. 대지면적의 상당한 크기로 인해 공원의 경계부는 다양한 성격의 도시조직과 맞닿아있다. 따라서 대규모 공원과 도시조직 사이의 경계는 기존의 단절의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앞으로는 양 공간의 성격을 고려하여 다양한 역할을 하는 매개체로서 바뀌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적인 컨텍스트와 공원 내부의 컨텍스트를 분류하여 각각에 대한 대응규칙을 세웠다. 각 사이트마다 해당되는 규칙을 토대로 용산공원의 경계부는 총 8가지 타입으로 나누어졌으며, 경계의 역할을 5가지(merge, assist, sign, buffer, segmentation)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경계에 대한 세밀화된 분류를 통해 컨텍스트에 적합한 경계부를 디자인함으로써 도시조직과 공원의 상호작용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지도교수 김주원, 이태진
지도교수 작품평 김재원 학생의 작품은 용산미군기지라는 서울 도심의 폐쇄적인 거대조직이 시민공원으로 변하여 오랜 시간 단절됐던 경계를 다시 개방하고 주변의 다양한 도시조직들과 조화로운 매개공간으로 경계부를 변화시킬 수 있는 규칙을 제안한다. 때문에 한 장소 또는 건물에 집중된 해결책 보다는 경계와 마주하는 주변의 도시조직 성격에 비추어 경계부들의 성격을 분류했으며 동선, 도로, 건물, 경관, 식생 등 장소별 주변 요소들에 비추어 랜드스케이프 건축디자인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인 설계안들은 특정 건축용도를 내세우기보다 주변의 다양한 도시조직들과 다양한 시민활동들이 공원내부 또는 경계 안으로 스며들어 도시에서의 공원, 공원에서의 도시 모두가 흥미롭도록 하였다. 디자인 어휘는 간결하고 규칙에 충실하며 간단명료한 도면표현부터 세세한 투시도 속 재료의 느낌까지 표현이 적절하였다. 특히 이러한 전 과정을 인터랙티브한 웹디자인으로 프리젠테이션한 능력을 높이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