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New Street Tourism

수상 우수상
출품자 채민아
소속대학 충북대학교 건축학과 5년
설계개요 인천 중구 송월동 동화마을은 낙후된 주거지에 벽화거리를 조성해 형성된 마을이다. 낙후된 주거지에 옹벽을 형성하여 그려진 벽화는, 낙후지역에 대한 개선이 아닌 방치의 실태로 파악되었으며 그로 인해 관광객과 주민의 영역 구분 없이 프라이버시 침해가 발생하는 현황이었다. 마을 현황을 토대로, 방치되고 있는 마을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복합 문화시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작품설명 송월동 동화마을의 벽화 거리를 형성하며 과거의 공간들이 옹벽과 담에 가로막혀 방치되고 있다. 옹벽을 통해 벽화 거리를 조성하는 것은 관광객과 주민의 마을 길 공동 이용을 야기하고, 관광객과 주민의 충돌을 야기한다. 그렇기에 방치되고 있는 마을 내부 공간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며 사이트 내 공간을 낙후 주거 골목 방치 구역/ 개항 당시의 근대 건물/ 개항 당시의 사택 터로 분류하였다. 관광객이 마을길 전체를 산책하며 경험하던 벽화 마을의 경관들을 복합문화시설 내에서 압축적으로 제안하여 마을 내 관광객의 영역을 구획하고자 한다. 마을의 흐름이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흐름을 영역성이라는 체계를 가지며 공간화하기 위해 “입체가로를 통한 새로운 마을길 체험”을 제안한다. 복합문화시설의 이용 대상자는 관광객과 마을 주민이다. 입체가로를 내어주며 사이트 내에서 관광객의 영역을 구획하고 주민과 매개 및 완충시킨다. 기존 마을길과 연속되는 스팟에 주민시설을제안했고 벽화마을에서 이어지는 관광객 영역에는 문화시설, 숙박시설을 제안했다. 기존 벽화 거리의 입구와 맞닿은 관광객 영역에서 출발해 근대건물-사택 터로 이어지는 형태를 생성해 메인 동선을 연결했고, 이에서 파생된 숙박관광시설과 연계를 위해 북측에 입체가로를 생성했다. 그리고 마을 내 주민동선에서 이어지는 입체가로를 형성하여 주민 시설에서 출발해 관광의 중심부로 향하도록 프로그램 연계를 형태적으로도 연결했다. 현황에 따라 구획하였던 대지에 각 기능을 부여하여 저지대의 낙후 주거 골목 방치구역은 문화의 장으로, 고지대의 개항 당시의 사택 터는 역사체험관 및 주민시설, 그리고 개항 당시의 근대 건물에서는 벽화라는 현재의 산물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며 저지대와 고지대를 연결하는 중심점의 역할을 부여했다. 계획된 설계안이 자체 프로그램 기능으로 작동하면서도 마을의 내외부와 계속해서 연속선상에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에 관광객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던 벽화거리는 유지한 채로, 기존 마을의 입면이 내부로 연속성을 갖고 들어가도록 하였다. 기존 마을 건물의 재료인 벽돌을 활용해 솔리드한 코어, 벽체를 형성했다. 그리고 건물 외부를 투명하게 하며 벽화거리를 사이트 내부로 끌어들였다. 이는 내부 공간을 더욱 유기적으로 만든다. 근대건물의 곡면 벽을 통해 계단을 타고 올라가며 문화마당에서 역사체험관으로 동선이 이어지고, 역사체험관 건물은 저층에서는 관광객대상시설, 고층에서는 주민 이용시설로 두어 구릉지에 면한 모든 레벨에서 접근 가능하다
지도교수 이상훈 교수님
지도교수 작품평 본 작품은 낙후된 주거지에 벽화거리를 조성해 형성된 마을에서 방치되고 있는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복합 문화시설을 제안하고자 한 것으로, 관광객이 마을길 전체를 산책하며 경험하던 벽화마을의 경관들을 다양한 레벨의 복합문화시설로 거닐면서 경험하여 Old & New 그리고 In & Out의 공간을 경계없이 제안한 점이 우수하였다. 설계대지인 인천 중구 송월동 동화마을은 벽화거리를 조성해 형성된 마을인데, 낙후된 주거지에 옹벽을 형성하여 그려진 벽화는 방치되고 있어서 마을 내부 공간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며 대지 내 공간을 낙후 주거골목 방치구역, 개항당시의 근대 건물, 개항 당시의 사택 터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마을의 흐름이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흐름을 영역성이라는 체계를 가지며 공간화하기 위해 ‘입체가로를 통한 새로운 마을길 체험’을 제안하여, 기존 마을길 및 관광객의 입체가로를 레벨별로 계획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의 제안과 기존 마을 건물의 재료인 벽돌을 활용하였다. 이 작품은 기존 낙후된 마을의 특성을 역사 사회 건축적으로 잘 분석하여, 방치되고 있는 마을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시의 관점에서 복합 문화시설을 제안한 것이 우수하여 추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