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New Retail Cluster _ 현재와 과거가 함께하는 시장의 공간

수상 우수상
출품자 김예영
소속대학 가톨릭관동대학교 건축학과5학년
설계개요 재래시장은 조선시대부터 내려져온 3일장, 5일장 같이 사람들이 모여서 열리는 정기적 시장에서 출발하여 현재 소상인들의 연합의 구조로 상설시장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재래시장은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상징하며 그 지역의 관광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강릉 주문진 지역의 재래시장은 많은 관광객들 유입으로 인해 건어물, 어민, 수산물 등 기존 재래시장 옆에 새로운 시장들이 형성되어왔다. 이러한 형성은 기존의 전통시장과 수산시장 쇠퇴를 야기하며 관광객의 발길이 끊겨 해당 시장에 빈 상가들이 증가하게 되었다.또한 세대의 변화로 마켓에서의 공간 개념이 바뀌고 있다는 점, 주문진의 관광지임에도 즐길 공간과 문화가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쇠퇴된 재래시장에서 시장의 문화와 전통은 이어가되 새로운 시장의 형태를 확대 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계획하고자 한다.
작품설명 [ program ] 관광객과 주민들의 동선을 연결해 주는 대지를 선택하여 이용자가 다양해지는 것이 중요했으며 동선이 가장 많이 겹치는 저층부에는 전통시장의 역사성 있는 길의 흐름을 적용하였다. 이 길은 전통시장이 가지는 시장의 길의 의미를 내포하는 동시에 이벤트적 마켓의 프로그램 요소는 방문에 따라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준다. 상층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각종 다이닝 공간, 상시적 마켓, 지역 특산물로 요리할 수 있는 쿠킹클래스로 구성하며 관광객과 주민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위치하였다. 또한 기존에 위치되어 있던 'o브랜드 키즈 라이브러리'의 프로그램을 적용 및 확대하여 시장의 소비공간만이 아닌 문화의 공간으로 즐길 수 있는 마켓의 공간을 형성하였다.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의 공간들을 발맞추어 관리를 할 수 있는 마켓 오피스, 그리고 pop-up 적인 외부적 마켓의 공간, 라이브러리의 공간은 모두 원형의 형태를 가지며 층마다 걸쳐있어 이 건물의 외부적 형태를 가지게 된다. 가장 상층부는 야외공간을 조성하여 이 마켓이 가지는 큰 장점인 오션뷰를 누를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되어 있다. [ mass ] 저층부의 1층은 이벤트적인 공간으로 길의 개념을 강조하여 비어있으며 2층은 야외가 혼재되어 1층에서 쉽게 상층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계획했다. 상층부 각층에는 새로운 프로그램에 따라 원형의 공간들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이 외부적으로도 드러난다. 상층부의 오션뷰를 누릴 수 있으며, 관광객과 주민들의 동선을 연결시켜줄 수 있는 대지인 이곳에 동선 개념을 극대적으로 표현되길 원했다. 시선적인 동선의 강조는 전층의 마켓이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도록 원했으며 옥상 층이 문화공간으로 인해 전체적인 건물의 모습이 마켓과 문화의 공간 보여지도록 계획했다. 이러한 의도는 정면과 후면의 원형계단으로 모습이 드러난다. 새로운 프로그램들이 둥근 매스 형태로 보이고, 수직 동선이 원형의 공간으로 보이는 매스의 형태는 기존 재래시장이 가지는 사각형(건물의 형태)과 삼각형( 현대화 사업으로 인한 비가림막 설치)의 선적인 요소에서 파격적인 변화를 보여주기 원함이었다. 이에 외부에서 바라볼 때 새로운 곡선의 공간들에서 일어나는 동선이 더 활동적이게 보였으면 했다.
지도교수 고상균, 김주석
지도교수 작품평 관광도시에 어울리는 관광형 재래시장의 모델을 찾는 계획으로 전통시장 본래의 장소성(오픈 마켓)을 1층에 확보하고 관광객들의 다양한 욕구인 볼거리, 먹거리 등과 함께 지역에서의 다양한 수요를 부가(바다가 조망되는 최상층에 유치원, 어린이 도서관, 북카페 등을 제안)하여 기존의 단조로운 상설시장이 아닌 늘 변화하고 새로운 관광시장의 가능성을 찾고 이를 지역의 문맥(인근 상가 및 활어시장)과 연계하여 계획안으로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