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Urban Nexus

수상 우수상
출품자 임채민
소속대학 명지대학교 건축학과 5학년
설계개요 사람마다 각각의 이름을 갖고 있듯 도시도 각각의 이름과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오랜 시간 전부터 땅 위에 건물을 짓고 도시를 이루며 살아가면서 그 공간만의 특성과 분위기를 만들어왔다. 현재에 맞는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가며 변화의 과정 속에서 그 역사와 기억은 땅속에 쌓여간다. 하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공간 속에서 무분별하게 지어지는 건물들이 땅 위를 덮어버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땅속에 쌓여있는 역사와 기억은 점점 잊혀지고 사라져간다. 건축을 통해 잊혀가는 도시의 정체성을 되찾고 행복한 도시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작품설명 가리봉동은 변화하는 사회 속에 과거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을 모두 잘 간직하고 있는 공간이다. 과거 한국의 산업 발전의 상징이었던 구로공단을 중심으로 좁고 어두운 공간들로 펼쳐진 벌집촌과 현재 외국에서 이주한 외국인 노동자들, 디지털산업단지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만들어진 높은 빌딩들은 여러 시대의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극명한 대비를 보이고 있다. 사이트로 선정한 가리봉동 124번지 일대는 남쪽으로 남부 순환로가 위치해있고 북쪽으로 구로동로, 동쪽으로 중국 문화거리인 우마 길이 접해있다. 이곳은 과거 공단과 ‘벌집촌’이라고 부르는 노동자들이 모여 생활하던 지역이 현재까지 개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열악한 환경과 주거시설이 많은 지역이다. 이번 설계작품의 콘셉트는 가리봉동이라는 도시의 ‘과거-현재-미래’를 연결하여 도시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는 방안으로 ‘계단’이라는 물리적인 요소를 통해 도시 속 대비되는 건물들을 형태적으로 연결하고, 길게 이어진 계단을 통해 건물 내부의 공간을 연결시켜준다. 계단 모양의 매스 형태는 사이트 북쪽의 낮은 주거지역과 남쪽의 높은 상업지역을 이어주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의 매스는 가벼운 형태를 구성하여 무거움을 덜어주었다. 건축물은 지하 3층, 지상 12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층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산업 역사 문화전시 시설이 구성되어 있고, 지상 1~4층은 우마길과 연결된 휴게 및 상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상 5~8층은 현대 전시시설, 지상 9~12층은 휴게 및 작업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 아트리움은 지상의 재료와 달리 벽돌을 사용하여 역사를 기억하는 특별한 공간임을 인식하게 해주며 외벽의 연속된 2m 크기의 정사각형 창은 가리봉동의 벌집촌의 어려운 환경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계단 모양의 매스 형태와 함께 지상층의 낮은 부분은 우마길과 접하고 있는 상가시설들과 부족한 휴게시설을 구성하여 기존의 길의 성격을 유지하며 활성화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으며 상층 부분에 작업 공간 및 전시공간을 구성하여 부족한 문화시설을 활성화시킨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 잊혀가는 가리봉동의 역사를 한 번 더 기억하고, 현재의 문화와 환경을 존중하고 앞으로 바뀔 도시 속에서도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한 해결 방안으로써 더 이상 무서운 도시, 불안한 도시, 낙후된 도시가 아닌 행복한 도시로 거듭날 수 있기를 바란다.
지도교수 전진영
지도교수 작품평 ‘과거-현재-미래’라는 시간의 흐름은 어떤 형태로든 도시공간에 흔적을 남긴다. 각 시대의 시민 공동체는 집단지성을 발휘하여 모자이크 퍼즐처럼 흩뿌려져 있는 과거의 흔적들을 박제화하거나 현재 또는 미래 세대를 위한 새로운 도시상의 밑그림으로 삼게 마련이다. 설계 사이트는 가리봉동의 과거가 현대와 만나는 접점인 동시에 남부순환도로에 의해 남북으로 단절된 도시공간들의 접점이기도 하다. 값싼 인력으로 국가의 경제도약을 이끈 산업단지의 면모는 사라졌지만, 전통적인 도시조직과 시장 등에 담겨진 가리봉동의 모습을 통해 희미하게나마 이 지역의 역사를 짐작할 수 있다. 이런 ‘민낯’은 부끄러운 상흔이 아니고 이 땅의 밝은 미래를 상상하게 하는 단서이다. 설계자는 가리봉시장쪽으로 통하는 가로변에는 저층형 매스에 상업과 여가기능을 제안하는 한편 남부순환로변에는 고층형 매스에 업무기능을 설정하였다. 양 매스는 선형의 선큰공간을 매개로 연결되며 지하 문화공간(공연장, 전시장)으로의 접속 또한 선큰공간에서 이루어진다. 복잡한 도시맥락속에 과거의 실마리를 남기면서도 현 세대와 미래 세대를 위한 프로그램을 적절히 제안하였다. 도시경관, 건축조형 측면에서도 명쾌한 해법을 제시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