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 |
우수상
|
출품자 |
우형석
|
소속대학 |
청주대학교 건축학과 (5년제)/5학년
|
설계개요 |
위 치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 114-18일대
대지 면적 : 약 4,150㎡
건축 면적 : 2983.9㎡
지역 지구 : 도시지역, 일반상업지역, 방화지구
시가지경관지구(일반),광로3류(폭 40M~50M)(접합)
건 폐 율 : 70% 이하(공동주택과 주거용외의 용도가 복합된 건축물)
용 적 률 : 800% 이하
가능 용도 : 공동주택, 제1종 근생시설, 제2종 근생시설, 문화 및 집회 시설
|
작품설명 |
부제
청년 START - UP 플랫폼을 통한 옛 수원역성매매집결지의 새로운 아이덴터티 제안
내용
수원에서 가장 변화되어야할 곳, 그 곳은 말하기 조심스러운 지역의 역사이자 문제점으로 지목되는 수원역 근처 성매매집결지일 것이다. 출입금지구역으로 사람들이에게 인식되어버린 곳 도심 속 소외되고 단절된 공간에서 청년과 지역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복합 주거 커뮤니티를 계획하여 청년들의 일자리와 주거 그리고 도시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청년 START - UP 플랫폼을 제안한다.
컨셉
사이트 전략 : 현재 대지는 노후화된 공실, 공가로 가득 차 소통이 단절된 공간으로 먼저 오픈 공간을 형성 해주는 것이 필요하였다. 신도심과 구도심의 흐름을 연결시키고자 마당이라는 소재를 통해 오픈공간을 형성하고 열린공간으로서 소통공간을 마련하였다.
공간적 전략 : 대지의 축으로 형성한 그리드로 저층부에 지역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하여 두 도심간의 흐름이 서로 엮어질수있도록 계획하고 고층부는 주거를 배치하되 주거 사이사이 유닛에 따른 공유공간의 배치를 통해 주거공간 속 커뮤니티 공간으로 주민 네트워크를 형성시킨다.
|
지도교수 |
윤성훈, 김성훈
|
지도교수 작품평 |
과거 수원역 주변의 성매매집결지 였던 지역이 시대적 요구에 의해 변화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의 기피시설 망명지였던 주변의 비워진 또는 낙후된 지역을 어떻게 현재의 새로운 시점으로 바라보고 재해석 할 것 인가에 대한 도시적 관점의 주제를 찾아내고 문제제기 후 이를 해결하기 하기 위한 조사 및 분석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적합한 공간적 도시적 건축적 계획 결과를 도출해 냄. 또한 단절 되어진 도시적 맥락을 지역의 커뮤니티와 청년 일자리 및 주거라는 기능적 프로그램 요소를 통하여 수평 수직적 공간의 입체적 연계를 제시함으로써 공간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으며, 현재 도시에서 요구되어지는 공공 오픈 스페이스를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이를 계획에 접목함과 동시에 프로그램들과 저층부에서 공유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시의 수평적 연결성을 구축하여 주변의 공간흐름을 자연스럽게 유입 시키도록 만들어 줌. 건축 공간적 요소로는 저층부의 커뮤니티 시설을 통한 내외부 공간의 연결, 활동의 연결성을 만들어내고, 수직공간의 적절한 기능적 분리를 통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시킴과 동시에 유닛사이에 커뮤니티를 활성화 시킬수 있는 공간들을 제안함으로써 주민참여 기회를 적극 제공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