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SONGDO EDU-VALLEY

수상 우수상
출품자 엄지은
소속대학 인천대학교 건축학 대학원
설계개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송도역세권구역 도시개발 사업은 수인선 송도역사 주변으로 무분별한 건축물의 난립을 막고자 조성된 계획안이다. 인천발 KTX 복합환승센터의 개발계획으로 인해 많은 유동인구의 유입과 우수한 인프라에도 불구하고 개발의 방향이 공동주거와 주변환경 개선 등에 그쳐있는 상황이다. 이에 지역 인프라인 옥련국제사격장과 구송도역, 문학산을 중심으로 역사와 문화, 교육, 자연을 아우르는 평생학습도시를 제안한다. 특히 지역성과 역세권구역의 장소성 KTX 송도역과 고등학교의 가치를 가지고 송도-광주-부산 혹은 송도-광명-강릉 등 전국을 캠퍼스로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는 새로운 교육방식인 한국형 미네르바스쿨을 제안하며 대지 전체를 아울러 남녀노소 모두가 학습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작품설명 [ CONCEPT ] 한국형 미네르바스쿨을 중심으로 대상지 전체를 아우르는 평생학습의 도시로 제안한다. 학생들을 위한 기숙사와 고등학교, 방문객을 위한 컨퍼런스 홀, 학회, 연구소, 주민을 위한 문화광장, 보건소, 역사문화공원 등 다양한 건축 공간과 야외 공간을 제공하여 주민, 학생, 외부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평생학습의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KTX 송도역의 특이점을 이용하여 송도-광주-부산 혹은 송도-광명-강릉 등 전국을 캠퍼스로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는 새로운 교육방식인 한국형 미네르바스쿨을 제안한다. 이를 중심으로 생활권 전체에서 배우는 평생교육의 도시, 용도의 확장으로 24/7을 이루는 도시, 마이스산업과 함께 발전하는 산업도시를 제안한다. [ DESIGN STRATEGIES ] 보행 접근이 편리하도록 기존 등고를 따라 경사도를 낮추어 보행로 계획을 하고, 이를 보조할 수 있는 경사를 가로지르는 차량 동선계획을 제공했다. 학교, 송도역을 중심으로 학교-주거-상업/업무-녹지 순으로 방사형의 공간 구조체계를 적용하여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했다. 또한 북측의 문학산의 바람길을 그대로 끌어들여 대상지 내의 통경축을 제공하고 이와 함께 자연스러운 스카이 라인을 제안했다. 본 계획안에는 세 앵커시설이 위치한다. 송도에듀밸리의 중심에 위치하여 평생학습공간을 제공하는 ‘SONGDO U-PLATFORM’은 어린아이들을 위한 유치원, 청소년을 위한 한국형 미네르바 스쿨, 주민들을 위한 커뮤니티 시설 그리고 방문객을 위한 컨퍼런스롱과 야외 휴게공간까지 제공한다. 또한 지하에 통합주차장으로 지상의 보행로와 분리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공간을 제공한다. 두 번째 앵커시설인 송도역 복합환승센터는 지하철 역사, 호텔, 오피스, 문화공간 등이 위치하여 TOD를 최적화하고 보행자와 건물을 잇는 사이동간을 데크로 제안하여 이률적인 고층 타워대신 저층부터 중층, 고층을 아우르는 다양한 높이의 건물과 넓은 공공보행로를 제공한다. 송도역사문화공원은 폐역인 구 송도역과 함께 역사박물관, 스테이, 물탱크 등 옛 그대로의 건축물과 신축 건물이 함께 위치한 공원으로 지역주민과 방문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공원으로 제안한다. 세 앵커 시설을 중심으로 다양한 평생학습의 프로그램과 야외 공간을 제공하고 문화, 역사, 자연을 이용한 정주환경을 제안한다.
지도교수 곽동화
지도교수 작품평 ‘송도에듀밸리’는 KTX 송도역을 중심으로 인천도시기본계획에 부합된 계획적 도시개발을 통해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과 공공복리 증진 및 지역간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데 목표가 있다. 본 작품은 지역 인프라인 옥련국제사격장과 구송도역, 문학산을 중심으로 역사와 문화, 교육, 자연을 아우르는 평생학습도시를 제안했다. 특히 지역성과 역세권구역의 장소성을 살려 평생학습도시를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KTX 송도역과 고등학교의 가치를 가지고 송도-광주-부산 혹은 송도-광명-강릉 등 전국을 캠퍼스로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는 새로운 교육방식인 한국형 미네르바스쿨을 제안하였으며 대지 전체를 아울러 남녀노소 모두가 학습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위 학생은 송도역 복합환승센터의 가치 창조와 활용의 가능성을 위한 참신한 제안을 행했으며, 북쪽 문학산의 지형을 고려한 바람길과 통경축을 설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세개의 앵커시설에 대한 건축계획, 친환경적 도시공간과 도시인프라스트럭처, 이용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등의 수준 높은 작품을 완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