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물밀듯이 ;Dive into the Deep Ocean

수상 우수상
출품자 김규모
소속대학 울산대학교 건축학과 5학년
설계개요 프롤로그_ 대규모 컨테이너 화물들을 위한 부산 신항만이 건설되면서, 기존의 구 항만인 북항의 기능 재배치와 공간조정의 필요성이 논의되고있다. 그렇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북항 재개발 사업은 무분별한 난개발로 인해 상업적 성향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우선 부산이 살기좋은 해양도시가 되기 위해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공을 위한 공간’이 되어야하며, 무엇보다 재개발로 인하여 북항이 가진 정체성을 잃지 않아야할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북항의 잠재자원 핵심을 산업유산으로 본다면, 자성대 부두에 잔존하는 사일로를 통해 역사-문화적 자산들과 장소-경관적 자산들이 어우러지면서 도시유산으로서의 가능성을 예상해보았다.
작품설명 보존의 영역설정_ 사일로 리노베이션에서 우선 보전할 영역의 구분이 필요했으며 그 전략으로 다음과 같은 보존영역 및 리노베이션 방법을 사용하였다. 1. 첫째로 원통형 사일로 사이에 있는 기둥 열주 구조를 보존 2. 두번째로는 사일로에서 양곡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기존 양곡레일이 존재하는데, 이 구조물을 철거하되 레일 아래의 구조물의 흔적을 보존 3. 세번째는 기존의 원통형 사일로 형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증축의 리노베이션 방식을 통해 기존의 원통형 어휘와 비슷한 형태로 증축하고자한다. 컨셉_ 시민들에게 친수공간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바닷물을 그대로 들여와 거대한 사일로 내에 담는다는 컨셉을 갖고있다. 사이트와 가장 가까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바닷물을 관입시켰으며 이러한 컨셉에 따라 물이 유입될때, 먼저 유입되는 물의 부피와 밀려들어온 물이 부피를 기준으로 디자인하였다. 우선 가장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단계에서 아쿠아리움이, 다음으로는 스킨스쿠버 다이빙장, 마지막 물의 부피가 가장 적은 수영장까지 프로그램이 배치되게됩니다. 또한 원통형 사일로 내에서 물의 채워진 부피가 솔리드로 표현되었을때 보이드부분은 공기의 부피를 이용하여 실내 스카이다이빙 프로그램으로 이용됩니다. 공간 전략_ 수족관 관람은 내부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렇기에 아쿠아리움의 설계 방점은 내부에 있으며 기존 수족관의 일방향적이고 수평적인 전시는 관람객들에게 보여지는 전시인 반면, 행동전시를 통해 물고기들은 원통형 사일로 안을 자유롭게 헤엄칠 수 있고 이러한 자연상태의 생물들이 자유분방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우리는 다양한 위치에서 동적으로 관람 할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전시의 방법은 6가지의 다양한 프레임을 통해 생물들을 바라볼 수 있으며, 수조 하나를 여러 방식으로 보게 함으로서 관람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지도교수 이재민
지도교수 작품평 부산 자성대부두는 물류항으로서의 기능이 신항만으로 이전되면서 이에 따른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김규모 학생은 산업구조 변화로 인해 부산 자성대부두의 농업 사일로를 역사/문화/경관 자원으로서 재활용하고 북항의 정체성을 유지시키는 산업유산으로 탈바꿈시키려는 의도로 본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사일로를 새로운 건축자산으로 바꾸는데 첫째, 원통형 사일로의 기둥열주 구조를 보존, 둘째, 양곡 레일을 철거하되 구조물의 흔적을 보존, 셋째, 기존의 원통형 어휘와 비슷한 형태로 새로운 기능을 삽입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수상체험시설은 부산 북항의 과거를 기억하고 도시의 새로운 기능으로서 작동하는 도시의 탈산업시대에 대한 실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