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고립된 담장에서 도시 네트워크 허브

수상 우수상
출품자 탁세진
소속대학 경남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학과 5년
설계개요 마산 중심부에 옛 형무소터가 남아있다. 오랜 기간 고립되었던 이곳은 형무소가 이전하고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도시 흐름을 막고 있다. 바로 주변은 대규모 도시재생을 시도했으나 결과는 미비한 창동과 오동동이 있으나 과거의 기억을 소환하는 역할로 마무리되었다. 본 프로젝트는 형무소터와 그 주변, 교방천까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마산 중심부 전체에 활력을 주는 역할을 제안한다. 우선, 과거를 환기하여 외부인들이 잠시 들리는 소극적인 재생방식을 넘어 적극적인 방식의 재생이 가능한 도시 구조를 만든다. 기존의 복잡한 미로와 막힌 골목, 폐쇄적인 공터를 조직하여 일상적이면서도 축제가 개최될 수 있는 공간 구조를 계획한다. 이 곳에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지역 상주 거주민의 일상 프로그램으로 그 자리에 머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찾아올 수 있는 문화공간을 동시에 제공한다. 결국 마산 형무소와 주변의 도시 직조는 여기서 재해석되어 고립에서 도시 네트워크의 허브로 변모한다.
작품설명 마산 원도심의 도시 요소 중 가로는 예로부터 자연스럽게 형성된 골목과 일제강점기 개발로 인해 형성된 격자형 도로 구분되어 있다. 두개의 가로는 현재까지 단절되어 연결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걷고 싶은 거리’로 형성된 창동의 단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도시재생으로 인해 형성된 광장은 주변의 상업시설들과는 단절되어 있어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모이지 않아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현재 원도심의 도시구조는 각각의 요소들의 단절로 인해 유기적으로 살아있지 못하다. 따라서 기존의 도시재생과는 차별화된 계획으로 현 도시의 조직 또한 보완하며 새로운 도시재생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도시구조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으로 인해 단절되었던 기존 가로들을 연결해 새로운 축을 형성하고 이는 광장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통과 동선으로 사용한다. 또한 광장의 주변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며 직접적으로 연결된 수직 동선을 형성해 기존의 저층만이 아닌 상층과도 적극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광장의 활용성을 극대화하였다. 따라서 기존 원도심의 거리와 광장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볼륨이 있는 입면을 제안한다. 기존의 도시재생은 작업중심의 작은 공방위주로 이루어져 있어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비중심의 큰 문화시설 통해 쉬운 접근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이는 지역적 특성을 가진 역사관과 주민들에게 필요한 스포츠시설, 도서관, 미술관등으로 구성해 기존 원도시의 프로그램을 보완하였다. 상업화된 오동동 문화거리와 통술거리를 고려하여 남쪽으로 상업시설을 배치하여 기존가로의 성격을 보존하였으며 주거지로 형성된 북쪽으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스포츠시설과 미술관을 배치하며 산책로로 활용되는 교방천과 연결, 접근성을 높였다. 현재 옛 마산 형무소의 터였지만 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있는 대상지의 중심부에는 역사관을 배치하여 땅이 가진 지역적 특성을 살리고자 하였다. 필로티와 캔틸레버를 활용하여 볼륨적인 입면을 구성해 오픈스페이스와의 관계를 확장하였고 각 건물의 볼륨부분에 수직동선을 배치하여 오픈스페이스의 활용성을 극대화하였다. 추모의 성격을 가진 역사관은 도시와는 다른 정적인 공간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주출입구 기둥들 사이를 지나 하늘을 향해 열린 빛 공간을 구성하였다. 또한 역사 전시관의 동선의 마지막으로는 기존의 형무소 담장입구를 살린 도서관으로 연결되며 공원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지도교수 신건수
지도교수 작품평 본 작품은 지방 중소도시의 원도심 도시재생의 한계점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에서 출발하였다. 마산의 원도심은 많은 비용을 들여 재생되었으나 잠시 반짝거렸을 뿐 효과는 미비했다. 이 프로젝트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일시적인 추억 혹은 과거의 영광을 되새기는 방식을 벗어나는 제안으로 주목하게 한다. 마산 중심부 도시구조의 흐름을 막는 대지인 옛 마산형무소(현 부영주차장) 자리를 주목하고 이를 소통의 핵심으로 삼았다. 두 가지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첫 째, 지역 상주인구가 자신의 터전에서 활발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동시에 유동인구가 문화행사에 참여하는 두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다. 원도심의 근간인 상주인구가 유지되는 지속가능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도시 구조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폐쇄적인 대지와 기존 가로를 확장하여 소통을 가능케 하면서, 대지의 중앙을 넓게 개방하여 하천(교방천)과 원마산 중심부를 직접 연결하고 있다. 쇠퇴하는 지방 원도심의 활성화에 필요한, 이런 과감한 도시 해석과 접근을 제한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을 적극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