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GREEN WA(Y)VE - 성매매 집결지, 녹색물결로 다시 태어나다

수상 우수상
출품자 김정주
소속대학 경남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학 5년
설계개요 마산의 서성동은 얼마 전까지 성매매 집결지였다. 성매매 집결지는 번화한 도시 속 고립된 섬으로 홀로 늦은 밤까지 반짝거렸다. 맞은편에는 마산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4.19의거의 출발점이 된 3.15 부정선거 반대 시위를 기념하는 탑이 있다. 이제 성매매 집결지의 기능을 멈추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에 직면했다. 부정적 인식이 가득한 성매매 집결지를 지우고 완전히 새롭게 만들까? 오래 지속되어 지금까지 준 영향을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본 프로젝트는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접근했다. 우선, 서성동의 고립된 장소의 변화를 주고자 사람들에게 배척당한 장소를 모이는 장소로 탈바꿈하도록 지역 주민 커뮤니티 공간을 제안한다. 그리고 오래된 도시 조직(urban tissue)의 흔적을 유지하면서 고립 대신 개방과 소통의 구조로 변경한다.
작품설명 새로운 프로그램 계획, 기존 주변 맥락의 반영 및 보완, 녹지 삽입의 총 3가지 제안을 통해 건물과 지역 주민, 녹지가 하나의 유기적인 곡선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도시공간의 일부가 되도록 계획하였다. #1 새로운 프로그램 일상에서 발생하는 지역 문제들은 점차 주민의 참여와 협력 없이 해결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주민들이 공동체를 형성하고 주도해야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 공동체 활동은 거주민의 지역에 대한 애착심을 갖게 하여 거주 지역에 대한 만족도 형성에 기여한다. 주거지역의 중앙에 위치한 성매매 집결지로 인해, 지역 주민의 거주 지역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기존의 성매매 집결지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으며, 지역 주민들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 미술관, 도서관, 문화센터, 스포츠센터를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한다. #2 기존 주변 맥락의 반영 및 보완 기존의 지역 주민 동선과 주변의 흐름이 반영된 익숙함 속 새로운 공간을 제안한다. 또한 성매매 집결지는 불편한 역사이지만 되풀이하지 말자는 의미로 일부 공간이 보존되어 역사를 돌아볼 수 있도록 하고, 땅이 가진 역사성은 남기고 장소성은 변화시켜 지역 주민들의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제안한다. #3 녹지 삽입 대상지 서쪽에 접한 임항선 그린웨이(폐철길을 활용한 공원 계획)는 선형 공원으로 지역 주민들의 이용률이 높다. 이러한 임항선 그린웨이는 사이트로의 접근성을 높여주고 닫혀있던 서성동을 개방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임항선 그린웨이와의 연결을 통해 사이트 내로 녹지를 유입하고 이용자에게는 새로운 이벤트 공간을 제안한다. Design Concept 대상지 내에 제안될 건물이 임항선 그린웨이와 단절되는 것을 막기 위해 원하는 면적을 충족시켜 높이 짓는 것보다 기존의 임항선에서의 풍경을 반영하여 계획한다. 건물의 지붕이 경사로로 조성되어 여러 지점들로부터 접근이 가능하며 지붕의 이벤트 공간은 임항선 그린웨이 이용자들에게는 하나의 체험이 될 수 있다. 건물과 건물 사이의 오픈스페이스에는 3.15광장, 야외 전시 및 스포츠 공간, 녹지 공간, 어린이집 활동 공간, 상업시설 테라스 등 다양하게 배치하여 건물과 외부를 연결하고, 이를 지나는 것만으로도 하나의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산의 서성동 성매매 집결지는 청소년에게는 금지된 공간으로, 지역주민들은 스쳐 지나가는 공간으로, 세상과 단절된 닫힌 공간이다. 이러한 서성동을 외부와 단절된 땅과 사람이 함께 ‘회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안한다.
지도교수 신건수
지도교수 작품평 해당 프로젝트는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위치한 성매매 집결지의 재생을 목표로 하였다. 여기에서 핵심은 부정적으로 인식된 이곳을 어떻게 도시사적 연속성과 주변과의 연계를 가질 수 있는가에 있다. 우선 프로그램으로 지역 주민간의 갈등, 일상생활, 청소년 교육, 지역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 등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한 대상지에 주민들의 커뮤니티 형성을 기반으로 한 ‘복합문화공간’을 제안하여 닫힌 성격에서 개방적인 성격을 부여했다. 도시 공간적인 제안은 두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우선 성매매 집결지라는 부정적인 인식과 오래된 도시 직조를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기존 도시 구조를 재해석하면서 주목한 점은 폐쇄적인 가로 구조를 개방적으로 전환하는 점이다. 두 번째는 임항선 그린웨이와의 고저차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수평적이며 수직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한 점이 장점이다. 이 프로젝트를 관통하는 디자인 핵심은 매우 역동적인 곡선을 제안한 것이다. 침체되고 음습했던 이곳에 활성화하고자 매우 적극적인 제안이다. 이 프로젝트가 역동적인 형태 아래 중심 보행길로 함께 역사적 흔적을 사용하고 수직적인 변화를 철길 산책로와 결합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될 수 있는 수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