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GREY to BLUE to GREEN

수상 우수상
출품자 이동휘
소속대학 중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석사과정
설계개요 대상지는 ‘강남 둘레길’의 시작점이다. 양재천의 밀미리다리에서 시작해 달터근린공원과 구룡산을 잇는 도시 속 자연환경의 결절점이다. 회색빛의 도시요소와 파란빛, 초록빛의 두 자연요소가 모두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요소들로 인해 보행접근성은 양호하지만 차량접근에 있어 여러 불편함을 가지고 있는데, 현재는 공공시설인 서울남부혈액원이 자리잡아 폐쇄적인 담장으로 둘러져, 도시와 자연이 이어질 수 있는 매듭을 가로막고 있으며 둘레길의 보행성과 인지성을 헤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시의 다양한 경험요소를 호응할 수 있는 도심 둘레길의 시설 계획안 제시한다.
작품설명 도시(GREY), 양재천(BLUE), 달터근린공원(GREEN)을 연결하여 강남 둘레길의 보행환경과 그린 네트워크의 회복하기 위해, 양재천과 부지의 높이 차이를 이용한 다양한 보행과 경험을 중점적으로 계획했다. 본 작품의 중심을 관통하는 보행로는 양재천-달터근린공원 사이의 인지성을 확보하면서 자연적 프로그램을 경험하게 만든다. [GREY] 상점 및 주거동은 대상지 서편의 저층주거지의 도시맥락에 호응하며, 양재천과 강남 둘레길을 산책하는 보행자들에게 편의시설로 제공된다. 비스듬하게 잘린 건물동의 식물도서관, 정원체험교실, 강연실 등은 지역주민과 방문객들에게 직접적인 문화체험시설이 될 수 있다. [BLUE] 양재천 보행로와 밀미리다리(양재천 보행교)에서 입체적으로 접근 가능한 터널과 다리를 통해, 끊어져있던 수변공간과 둘레길을 엮는다.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통한 수족관과 달터공원까지 이어지는 수로를 통해 BLUE와 GREEN의 연속성을 강화한다. [GREEN] 조명으로 빛나는 스마트팜 시설을 전면에 두어 양재천변에서의 인지성을 확보하여 보행자들에게 존재감을 드러낸다. 생산된 작물은 카페, 상점 등에 제공되어 시각뿐 아니라 다양한 감각에서의 GREEN의 경험을 제공한다. 달터공원까지 이어지는 보행길 옆에서 마주하는 계단식 정원은, 기나긴 산책로에 휴식을 제공한다.
지도교수 전영훈
지도교수 작품평 도시 조건 속의 환경성과 쾌적성을 주제로 한 스튜디오 우수작품으로, 체험을 키워드로 하여 강남 둘레길을 회복하는 목표를 가짐. 배치, 매스 계획, 그리고 건축 프로그램 구성은 도시 조건에 부합하면서도 독특한 형태로 설계되었음. 둘레길의 연속을 위해 보행교를 입체적으로 연장한 점, 기술을 적용하여 두 가지 시스템을 통합설계한 점이 주요 콘셉트이자 주목할 만한 점임. 계획 내용을 적절한 기법으로 표현한 배치와 단면 다이어그램은 도시와 자연의 요소를 주변에 융화한다는 의도를 명확히 표현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