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BLANK LANDMARK

수상 우수상
출품자 김준성
소속대학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5년
설계개요 [대규모 개발의 새로운 초점] 국내 대규모 개발의 초점은 블랭크(Blank) 랜드마크에 맞춰져야 한다. 현재 많은 국내 대규모 개발이 다수의 오브제(Objet) 랜드마크 건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지구 전체의 활성화를 위해 대규모 개발에서 초점을 맞춰야 할 대상은 개별 건축물로서 기능하는 여러 개의 오브제 랜드마크가 아닌, 공공공간으로 기능하는 하나의 블랭크 랜드마크이다. [블랭크 랜드마크] 개별 건축물로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오브제 형태의 랜드마크와는 달리, 도시의 빈 칸으로 기능하는 블랭크 랜드마크는 공공성과 대중들을 위한 상징적인 경험을 중요시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고밀화된 격자형 도시 중심에서 광활한 자연을 경험하게 해주는 맨해튼의 센트럴 파크와 911테러의 희생자를 기리는 911 메모리얼이 있다. [국제교류복합지구] 국제교류복합지구는 잠실운동장에서 코엑스 일대에서 진행되는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이다. 개발은 제공되는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여러 대지를 민간 기업이 수주해 개별 개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문제점 / 새로운 방향성] 여러 대지를 민간에서 수주해 개별 개발이 진행되며 다수의 오브제 랜드마크를 건설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도시 중심지로 기능할 블랭크 랜드마크의 계획이 필요했고, 이는 국제교류복합지구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블랭크 스페이스인 탄천에 계획된다. 기존 선적인 보행교를 면적인 광장으로 만들어 정착지를 제공하고, 상징적인 경험을 더해 탄천의 블랭크 랜드마크가 계획된다.
작품설명 [인간적인 규모의 도시광장] 가까운 일상 속 콘크리트를 뚫고 뻗어 올라오는 꽃 봉오리처럼, 탄천 상부에 덮인 도시 레이어는 뻗어 나오는 탄천의 자연 레이어에 의해 조각된다. 조각된 도시 레이어는 인간적인 규모의 광장을 제공하며, 뻗어 올라오는 자연이 도시광장에서의 상징적인 경험을 완성한다. [입체적인 생태복원] 상부에 인간을 위한 광장이 계획되며, 하부 자연 레이어는 보다 입체적인 생태복원이 가능해졌다. 입체적인 생태복원이란, 인간을 위한 조경에서 더 나아가 동식물들의 정착지를 복원하는 것이다. 이는 추가적인 건축행위 없이 구조체 계획을 통해 진행되었다. 콘크리트 립을 다발 형태로 계획해 구조체의 속을 비웠으며, 다발기둥을 묶어주는 횡부재를 통해 여러 레벨의 동물 정착지를 계획했다. 또한, 표면의 와이어메쉬는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사람들에게도 상부의 도시광장과는 대비되는 상징적인 생태경험이 제공된다. [디자인 고려사항] 전체적인 크랙 디자인은 콘크리트의 균열 이미지에서 출발해 일조량 분석, 조닝 및 사용자 동선을 고려해 디자인된다. 내부에는 거대한 순환 동선이 존재하며, 순환동선에 접근하는 여러 외부 접근 동선의 시퀀스에 따라 입면이 배치된다. 외부에서 접근 시 겹겹이 중첩된 콘크리트 조각들에 의해 중심의 보이드가 직접 노출되지 않지만, 그 너머로 솟아있는 폭포가 하부의 자연을 암시한다. 중앙 보이드 접근 동선은 고든 컬렌의 연속시각이론에 의거해 지속적인 장면의 전환 및 노출되는 요소의 변화를 도모했다. 중앙에 배치된 폭포는 수질정화 및 어류의 정착지 제공을 통해 입체적인 생태복원에 기여한다.
지도교수 조성익
지도교수 작품평 ‘BLANK LANDMARK’ 라는 제목의 이 작품은 잠실에서 진행되는 국제교류복합지구 개발의 새로운 초점을 제시한 프로젝트다. 이익을 추구하는 여러 주체에 의해 진행되는 대규모 개발은 다수의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다. 학생은 지구 전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랜드마크들의 중심지가 필요함을 주장하며, 오브제 형태와 대비되는 블랭크한 형태의 랜드마크를 통해 공공성을 띄는 도시 중심지를 계획하고자 하였다. 학생의 아이디어는 거시적인 차원에서 더 나아가 건축가가 대중들에게 제공하는 상징적인 경험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자연의 신비한 현상을 인간의 경험으로 치환하며 도심 속 새로운 차원의 경험을 제공했고, 여러 현대 기술을 활용해 구현하는 등 건축이 나아갈 방향을 제안한다. 인간의 경험을 위해 자연 현상을 답습하는 사고방식은 건축의 한계를 넓혀 다채로운 도시를 구성하는데 큰 영향을 준다. 지구 전체의 활성화를 위한 대규모 개발의 방향성에 대해 고민하며 던진 학생의 아이디어는 도시를 살아가는 대중들의 경험 확장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며 대규모 개발 속 도시 중심지의 새로운 유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