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도시 친화형 마이크로 풀필먼트 복합센터

수상 우수상
출품자 유혜민
소속대학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대학원 졸업
설계개요 도시 친화형 마이크로 풀필먼트 복합센터 / Urban micro-fulfillment complex center 온라인 구매가 늘어나며 택배 시장의 발전으로 소비자들은 더욱 빠른 배송을 원하게 되어 기존의 택배 시스템과 다른 풀필먼트의 개념이 생겨났다. 풀필먼트는 단순히 물류 아웃소싱이 아닌 고객이 상품을 주문하고 배송받아 보는 모든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물류 체계로 주문과 동시에 풀필먼트 내에서 미리 입고된 상품을 찾아 피킹-패킹-출고 등을 하는 곳이다. 신속한 물류 처리를 위해 물류 로봇을 도입하여 창고 작업 자동화를 시켜 생산성을 높였다. 물류창고가 점점 도심으로 들어서며 도시공간에도 물류센터를 필요로 하고 있다. 현재 물류센터는 도시 친화적 건물이 아니기에 본 연구는 마이크로 풀필먼트가 도시 친화적인 건물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계획하고 이를 제안한다.
작품설명 본 설계는 도시 친화적이지 않은 마이크로 풀필먼트가 도심에 들어와 건축적으로 어떻게 도시 친화적인 건축물로 자리 잡을 수 있는지에 대한 계획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도시 친화형 마이크로 풀필먼트의 물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물류창고의 자동화 로봇들을 물류창고의 공간과 역할에 따라 분류하고 현재 존재하는 풀필먼트의 물류 순환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정보들을 토대로 도시 친화적인 스마트 창고 시스템 설계를 진행하였다. 설계를 진행하며 고려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류 이동체계 및 작업, 적재 공간에서의 자동화가 충분히 진행된 상태여야 했다. 둘째, 좁은 면적에서도 물류의 순환이 이루어져야 했다. 셋째, 물류를 통하여 공급자와 판매자, 소비자의 교류가 이루어져야 했다. 도시 친화적인 건축물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의 맥락과 분석이 중요했다. 대상지 지역에서 추구하는 프로그램과 도시의 축을 바탕으로 계획하였다. 물류를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대형 화물차에서부터 오토바이까지 픽업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었고, 판매자가 직접 픽업해서 바로 판매가 가능한 시스템 또한 계획하였다. 그리고 역사 위의 녹지를 대상지로 끌어들여 대상지에 대한 접근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양옆에 위치한 대전역과 복합환승센터를 연결하고 채광을 극대화해 대상지 내에 있는 실내 녹지를 활성화시켰다. 미래의 물류센터는 자연스럽게 건축의 벽과 같이 하나의 구조로, 또는 빠른 물류 순환으로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시스템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물류는 점점 빠른 속도로 우리에게 배송될 것이고 우리 삶은 그만큼 편리해질 것이다. 도심으로 들어오는 물류센터는 더 이상 독립적인 시스템이 아닌 지역 사람들에게 새로운 공간을 제공해 줄 뿐 아니라 편리함과 지역 발전까지 가져다줄 것이다.
지도교수 맹민정
지도교수 작품평 도시 친화형 마이크로 풀필먼트 복합센터 프로젝트는 물류창고의 변화된 형태인 풀필먼트와 마이크로 풀필먼트가 미래에는 도심으로 들어오게 되어, 어떻게 도시 친화형으로 변화됐는지 형태와 테크놀러지에 대한 연구 내용을 가지고 있지만 학생은 프로젝트 내에서 설정한 도시와 지역의 특성 또한 고려하였다. 대전의 미래 계발 안을 참고하여 대전역사와 복합환승센터 진입과 지역의 축을 연결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젝트에서는 물류 순환 형태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물류를 입출고하는 부분과 작업공간을 분류하고 도심 특성에 맞는 소비자와 공급자가 순환할 수 있는 스마트 창고 형태를 제안하며 물류 타워를 조성해 새로운 물류체계를 정의하였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발전한 물류 시장을 고민하여 생겨난 학생의 아이디어는 미래적인 물류 흐름을 도시와 접목해 제시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