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
[CONCEPT : 가변성을 지닌 확장된 베란다와 집단적 거실 - FLEXIBILTY EXPANDED BERANDA + COLLECTIVE LIVING ROOM]
이용자가 만들어 가는 가변성을 공간 개념으로 제시한다. 하나의 공간 안에서 다양한 공간의 쓰임과 움직임이 나타난다면, 공간의 형태는 유연하게 가변 될 수 있다. 운동장에서 피구, 자전거, 배드민턴, 달리기, 플리 마켓 등의 다양한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과 같이 이용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가변적인 공간은 놀이 선택의 기회를 제공 받아야 하는 아이들을 위해 필수적이다.
새로운 타입의 어린이 주거 환경은 기존 아파트의 확장에서 시작한다. 어릴 적, 타일 바닥으로 된 베란다에서 호스를 연결해 물놀이를 했던 반면에 최근, 베란다를 넓은 실내 공간으로 확장하여 집중 이용되는 추세이다. 그 결과, 현대의 주거 환경에서는 어린이들이 다양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더욱이 개인주의가 심해지는 사회에서 거주지 내 거실의 쓰임은 한정적이다. 흔한 한국의 아파트 거실 환경은 단순히 TV를 시청하는 목적 외에 다양한 움직임을 발견하기 어렵다. 기존 아파트의 수직적인 형태를 수평적으로 전환하여 확장을 통해 사람들 간의 접점이 많아지도록 공간을 넓히고자 한다.
베란다와 거실 영역을 실외 안뜰로 확장한 집단적 거실의 유형을 가변성이라는 공간 개념을 이용해 제안한다. 따라서 집단적 거실과 확장된 베란다는 보다 다양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우리는 캠핑장에서 음식으로 인해 관계를 맺기도 한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의 주거 영역은 내부에 벽이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주방 영역을 밖에 배치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만남을 의도로 집단적 거실을 재현할 것이다.
[공유주방 - COLLECTIVE KITCHEN + ZONING]
집단적 거실을 형성할 수 있는 첫 단계인 주방영역은 단순 요리 시설에서 나가 새로운 상호 작용을 위한 역할을 한다. 로직과 크기에 맞춰 설정해 비가 와도 모일 수 있도록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붕은 거울 재질로 되어있다. 일상적이면서 동시에 비일상적인 경험을 하게 한다.
주방 영역 주변에 있는 오브제들은 400, 800,1000(mm) 3가지 높이로 이루어져 있고 의자, 식탁, 스탠드바로 이용하며 원하는 곳에서 움직여 사용할 수 있다. 주방 영역과 근접한 곳에 Slope Play, Moving Play가 있다. 그리고 그 이외의 영역에 Grid 3개 크기인 공간들에 Water, Tactile, Camping의 프로그램이 배치되어 있다.
[움직이는 유형의 새로운 주거 - MOVING RESIDENTIAL AREA]
숙박센터는 움직이는 주거와 다채로운 환경을 제공한다. 놀이는 움직임을 정해주는 기구가 아닌 아이들이 스스로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거 또한, 사용자가 거주할 환경을 선택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움직이는 새로운 유형을 적용한다.
이에 숙박센터는 여러 아이들을 위해 어디에나 위치해 적용할 수 있어야만 하기에 로직에 따라 배치된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서울시 어린이대공원 축구장 부지에 위치에 한정하여 그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6000x6000 Grid를 바탕으로 프로그램별 로직이 성립된다. 설정된 값에 맞춰 각 장소들은 간격 로직에 의해 여러 곳에 골고루 배치될 수 있다.
첫 번째, 놀이를 위한 공간은 기구가 들어야 하기 때문에 Gird는 2개로 설정한다.
두 번째, 별도의 놀이 기구 없이 관리사무실과 기구 외의 놀이 공간으로 사용될 공간은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위해 Grid 3개로 설정한다.
세 번째, 주방영역은 가장 사이즈로 여러 곳에 배치될 수 있게 Grid 1개의 크기로 실면적을 설정한다.
이후에, 첫 번째와 세 번째 로직에 의해 생성된 겹치는 공간은 주방을 기준으로 1개의 Grid만큼의 빈 공간을 만들어 줌으로써 식사 공간 외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간의 융합을 이끈다.
마지막으로 시선의 연속을 위해 주방은 회전된 사각형 형태의 매스로 설정하였다.
이용자는 생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브릿지 위 주거 공간의 정차를 원할 경우, 트램펄린과 보이드를 제외하고 정차 가능하다. 브릿지는, 로직에 의해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부분들이다. 대지로부터 높이차가 있어 곳곳에 배치된 계단과 어린이 전용 계단으로 내려갈 수 있다. 브릿지의 보이드와 트램폴린 영역은 암묵적으로 주거 영역의 정차를 제한하여, 이용 영역의 적당한 간격을 유지한다. 또한 주거 단위 사이 빈 공간이 주택 단지 내 골목의 역할을 하며 새로운 즐거움을 제공한다.
[놀이영역과 그 가능성 - POSSIBILTY OF CHOICE]
Slope play는 경사진 놀이공간으로, 움직임에 대한 더 많은 가능성을 제공하고, Moving play는 큐브들을 아이들이 능동적으로 움직이며 나만의, 친구와 비밀스러운 공간을 만들 수 있는 놀이 기구다. Water play는, 도심 속에서의 물놀이 공간의 역할을, 트램폴린과 보이드 브릿지에서도 할 수 있게 한다. Tactile play는 곳곳에 배치된 아이들을 위한 촉감놀이 공간이며, 보호자를 포함한 이용자들은 배치된 빛 가구(Lighting Object)를 움직여 사용 가능한 곳이다. 마지막으로 주차장 근처에 위치한 캠핑장은 주택 공존의 가능성을 존중하며 배치했다.
이러한 가변적인 제한을 바탕으로 어린이가 자라나는 환경이 지금보다 능동적인 움직임을 끌어내고,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주고자 한 설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