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LINK_도시의 '틈'을 연결하다

수상 우수상
출품자 홍유리
소속대학 한국교통대학교 건축학전공 5학년
설계개요 테란바그(Terrain Vague) 활용 방안 제안_ 도시의 ‘틈’을 바라보는 시각 바꾸기 20세기 이후 대부분의 도시들은 인구의 집중으로 인한 양적 팽창을 경험하게 되었고, 단기간에 걸쳐 진행된 이러한 스프롤(sprawl) 현상은 서로 다른 질서를 갖고 있던 도시조직과 산업시설 간의 부자연스러운 충돌을 만들어 내게 되었다. 이로 인해 발생한 공허부들은 일종의 경계 상태를 형성하고 있었으나, 도시 내부로 포섭되었던 산업 시설들이 또 다시 도시의 외부나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면서 남겨진 건물이나 대지가 테란바그(Terrain Vague)화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현대 도시에서는 이러한 테란바그의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활용 방안들은 대개 현대 사회와 도시의 통합적인 관계를 이해의 바탕으로 두지 않고, 개별 시설물에만 집중하는 근시안적인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한계점을 가진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기존의 테란바그 공간의 활용 방식과는 다르게 일상의 도시구조와 테란바그 사이의 경계공간에서 서로 간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함으로써 경계 공간(틈)이 가지는 긍정적인 속성을 부각시키는 방향을 새롭게 제안하고자 한다.
작품설명 [SITE] 서울특별시 용산구 문배동 30-10번지 일대 용산은 과거부터 삼남 물류의 중심으로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편리한 교통 여건을 바탕으로 제조업이 발달하여 산업화 시대 서울의 성장을 이끈 대표적인 지역으로 꼽히며, 국내의 대표적인 생산, 유통의 중심지로서 빠른 도시의 팽창을 경험한 지역이다. 이 과정에서 용산의 도시 요소들은 다양한 경계를 형성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현재 용산에는 활용 가능한 다양한 테란바그가 존재하게 되었다. 선택한 SITE는 이러한 용산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도시요소 사이의 경계공간에 위치해 있다는 특징이 있다. [PROGRAM] IT연구시설 + IT 지식문화 체험관 + 주민 편의시설 SITE 주변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시요소들(용산전자상가, 주거단지 등) 사이의 경계를 허물기 위해 복합화 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때, 단순히 시설의 복합화에만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닌, 각 프로그램들의 연계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완충 프로그램을 계획함으로서 다양한 도시 레이어 사이의 간극을 유연하게 완화하고자 하였다. [DESIGN STRATEGY] 선정한 SITE는 철도와 고가차로 등 다양한 도시 인프라가 중첩되어 있는 공간으로, SITE내 영역이 분리되어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도시 레이어의 축에 따라 독립적인 매스들을 배치한 후 SITE의 중심이 되는 영역에 링 형태의 매스를 배치함으로서 다양한 도시 레이어를 하나로 연결하고자 하였다. 이때, 수직적인 연결을 위해 지하 공간–1층-고가차로로 연결되는 유연한 동선을 계획하고, 수평적인 연결을 위해 판 형태의 매스를 고가차로 위 공중에 형성해줌으로서 분리된 영역 및 공간의 입체적인 연결을 구체화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도시의 통합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테란바그 공간을 단순히 개별 공간으로서 활용하는 것이 아닌, 도시의 중심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게 하는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지도교수 이명재
지도교수 작품평 시대 변화에 따라 사회는 탄력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방면 도시와 건축은 사회처럼 능동적이고 빠르게 대처할 수 없다. 새로운 시대에 따른 산업구조와 사회구조의 변화들은 도시의 새로운 질서를 요구하게 된다. 본 프로젝트는 이러한 상황속에서 도심속 교통공간으로 분절되고 무분별한 재개발로 인해 단절된 상황, 산업생태계의 변화속에서 쇠퇴된 지역을 선정하여 '테란바그'개념을 통해 새로운 도시건축 유형을 제시한 프로젝트입니다. 용산전자상가의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제안하고, 단절된 주거단지를 활발한 소통공간으로 계획하고, 복잡한 교통으로 버려진 짜투리 공간을 입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버려진 도시공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매우 훌륭한 프로젝트로 이작픔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