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FLOW_흐르는 광주 문화 역사

수상 우수상
출품자 진수림
소속대학 호남대학교 건축학과 4학년
설계개요 대지 위치: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205번길 6 일대 지역 지구: 일반상업지역 대지 면적: 5,538㎡ 건축 면적: 1,433㎡ 연면적: 3,593㎡ 건폐율: 25% 용적률: 64% 건물 규모: 지하 2층 / 지상 2층 주차 대수: 38대
작품설명 도시의 성장이 철도역을 중심으로 기능을 하던 근대 도시를 넘어 현재는 철도역사가 도시공간구조를 변화시키고 도시를 발전시키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철도는 많은 유동인구를 유발시키며, 유동인구의 활동의 핵은 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철도역의 신설 및 정비는 도심의 개발을 의미하게 된다고 본다. 더이상 철도역은 철도역의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닌 이용객들에게 문화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현재 광주광역시의 관문인 광주 송정역은 여객 편의시설과 주변 인프라가 갖추어지지 않아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광주 송정 역세권을 호남 광역 교통의 허브 거점으로 육성하고 신성장 거점화를 위한 마스터 플랜을 제안한다. 광주 송정역은 광산구 송정동에 위치하며, 도심에서 서남쪽에 자리한다. 상무대로가 주 간선도로로서, 도시 전체의 접근성에서 비교적 열악한 실정이다.경전선의 종착역, 호남고속철도의 거점역, 광주도시철도의 통과역 입지적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주변 토지이용의 역세권 개발은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FLOW는 광주 송정역사의 북동측에 위치한 오래된 여인숙들이 즐비한 대지를 선정해 송정역사와 연계된 복합문화 시설을 제안한다. 기존의 송정역 인근이 가지고 있는 낮은 스카이 라인과 전통시장과 같은 전통문화 요소들을 보존하고자 낮고 긴 선형적인 매스를 조성한다. 송정역의 대합실과 본건물에 브릿지를 연결하여 송정역의 부족한 대합실 영역을 확장하며, 관광객 및 지역민들에게 관광 문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FLOW는 단순히 송정역 증축에만 그치는 것이 아닌 문화 관광의 종착역으로 기능할 수 있기를 바란다.
지도교수 박종현
지도교수 작품평 광주송정역은 광주광역시의 가장 주된 관문이지만 부족한 여객 편의 시설과 주변 인프라의 열악함으로 인해 지역에 긍정적이지 못한 이미지를 만들고 있다. 이 작품은 이러한 지역의 실정을 포착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안 해결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광주송정역사’, ‘1913송정역 시장’, ‘1호선 지하철역’. 이 세 가지의 흐름(Flow)을 하나로 끌어오고 흘려보내는 광주송정역 일대의 마스터플랜을 계획하여 광주의 관문 및 관광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제안하는 프로젝트이다. 이를 위하여 광주송정역 일대 개발의 방향성이 체계적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기존 역사의 부족한 콘코스 영역이 확장되는 선형의 공간들이 입체적으로 형성되었다. 특히 머무는 공간이 아닌 일시적 점유 공간인 KTX역의 특성이 반영된 코리더형 전시 영역 및 컨퍼런스 영역과 같은 공간들은 역사 복합개발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