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부유자의 질서 : 공익과 사익의 공존, 도시조직과 공공건축의 재구성

수상 우수상
출품자 하시온
소속대학 부경대학교 건축학과/5년
설계개요 도시적으로 포화상태인 강남 테헤란로에 기존의 도시조직과 건축물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공공 공간을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설계입니다.
작품설명 [계획의 배경] 1980년대 이후, 서울 강남의 테헤란로는 경제 성장과 함께 사무소 건물의 고층화가 이루어졌습니다. 공공시설에 대한 고려 없이 대형 오피스가 고밀도로 개발됨에 따라 현재는 시민들의 일상과는 단절된 도시 내의 선형 형태의 섬이 되었습니다. 도시적 포화상태에 이른 테헤란로에 현재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부족한 공공시설을 계획함으로써 테헤란로의 새로운 변화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컨셉] 기존의 도시 정비 방식은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높은 건물을 새롭게 세우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사적 이익을 우선시하는 구조입니다. 특히, 테헤란로와 같이 지대가 비싼 업무지역에서는 공공시설 투자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테헤란로 주변의 미활용된 부분을 공공에게 돌려주는 방식으로 테헤란로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고자 합니다. 기존의 도시 조직과 건축물을 유지하고 테헤란로 이면부에서 사용되지 못한 용적만큼을 공공시설로 전환함으로써 사적 이익과 공적 이익을 조화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합니다. 이를 통해 테헤란로 도시 조직의 새로운 프로토타입을 만들고자 합니다. [건축적 표현] 광장은 도시의 중심으로, 사람들이 모여 두려움을 없애고 안전하며 개방적인 환경을 누릴 수 있는 중요한 공공 공간입니다. 본 설계에서는 공공 공간이 부족한 현실과 높이가 가지는 권력의 상징성을 고려하여 광장을 기존의 건물과 연계된 가장 높은 곳에 위치시켰습니다. 전시 공간과 같은 특별 프로그램을 이용하면서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광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계획하였습니다. [종합] 건축 기술의 발전은 항상 새로운 변화를 가지고 옵니다. 이러한 변화과정에서 소수의 사적 이익보다 공공의 이익이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존의 도시조직과 건물을 유지하면서 이와 결합된 새로운 공공 건축물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시민이라면 누구든지 이용할 수 있는 공공의 오아시스를 기존 도시 내에 구축하고자 합니다.
지도교수 장지혁
지도교수 작품평 하시온 학생의 이 작품은 테헤란로 도시조직 재구성에 있어 기존의 방식을 넘어선 참신하고 혁신적인 접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대지합필이나 용적률 완화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의 한계를 짚고, 이로 인한 사익 중심의 결과를 피하려는 의도가 돋보입니다. 특히, 도시 발전과 공공 시설 부족에 대한 학생의 고민과 해결 방안은 명확하게 드러나며, 이는 도시계획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기술 발전을 통해 새로운 도시 조직을 제안하면서도, 공공 시설의 부족과 도시 발전의 어려움을 해소하려는 목표를 명확하게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주어진 도시 공간을 미활용한 부분을 공공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접근은 도시 주민들의 누리지 못한 잠재력을 찾아내는 참신한 시도로 평가됩니다. 작품은 건축 기술 발전의 함의와 도시 조직의 재구성을 통해 도시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공공 시설을 보다 풍요롭게 만드는 데에 주목할 만한 노력이 담겨 있습니다. 더불어, 학생의 열정과 창의성은 이 작품의 품격을 높이고 있으며, 도시 개발 분야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