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Linkscape; Creation of a collaborative society

수상 최우수상
출품자 김은지
소속대학 강원대학교 건축학과 5년
설계개요 장애인, 저소득층, 노인, 아동과 같이 경제, 교육, 사회적 인식 등등 여러 방면에서 고립되기 쉬운 사회적 취약계층은 빈곤의 대물림을 겪곤 한다. 이들은 반지하나 옥탑방 같은 열악한 주거환경에 처하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며, 결국 사회적으로 더욱 고립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치닫는다. 이러한 악순환은 그들이 삶을 쾌적한 환경에서 스스로 영위해 나가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들이 빈곤의 고리를 끊고 다른 사람들의 경제적, 물리적 도움 없이도 스스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주거커뮤니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유형의 취약계층이 타인의 도움 없이도 그들의 삶을 지속적이고 주체적으로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마을공동체를 제안한다. 그들을 위한 복지/커뮤니티 시설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존 주거지를 이탈해 새로운 지역으로 이주시키는 것이 아닌, 그들이 살고 있던 터전을 보존하면서도 그들끼리의 연대를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과 건축적 장치를 통해 이웃 주민이 곧 서로의 보호자가 될 수 있도록 주어진 환경을 개선한다. 성곽길의 가파른 계단, 시장 속 쪽방촌, 봉제공장의 작업공간으로부터 침범되는 가정집 등 다양한 상황의 열악한 주거환경과 낙후 주거시설로 가득한 창신동에 사회취약계층 주거 기반 마을공동체를 제안한다. 서울의 5 대 쪽방촌이자 저소득층 근로자들의 주거지역으로 낙인찍힌 창신동에 새로운 주거 커뮤니티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창신동 주민들과 마을 밖 사회와의 지속이 가능한 연결고리를 부여한다.
작품설명 01. 경계를 다루는 새로운 관점 시간의 지날수록 사회 구성원들은 다양해지고 더 많은 유형의 위계를 가지게 된다. 이들끼리의 갈등과 대립이 심화되면서 사회적 문제들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렇게 생겨난 여러 계층들 사이의 경계를 봉합하거나 재연결하는 과정으로 새로운 사회공동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주거 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여러 취약계층들이 타인의 물리적, 경제적 도움없이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하는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지역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02. 창신동의 레이어 가파른 경사의 낙산성곽길과 봉제공장, 그리고 낙후주거지와 좁은 골목길. 대상지의 특징을 각각의 도시 레이어로써 존재한다. 이들의 중첩은 곧 창신동만의 독특한 도시적 특성을 형성한다. 현재 창신동에 존재하는 주거형태에는 크게 4가지 유형이 있다. 급경사지 위에 존재해 거동이 불편한 노인, 장애인들은 접근이 어려운 경사지 주택, 쪽방과 노후주택들이 밀집한 블록의 중앙에 위치해 접근로가 마련되지 않은 주택, 봉제공장의 작업공간과 주거영역이 혼재되어 열악한 주거상황을 보이고 있는 유형, 화장실이나 부엌 같은 기본적인 주거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경우로 나뉜다.   이렇듯 창신동의 여러가지 단절을 극복하기 위해 경계의 봉합과 재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것과, 낙후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를 진행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   03.세부목표 목표 #1. 주거환경의 개선 주거의 유형에 따른 해결 전략으로 “CUBIC”이라 명칭한 수직동선을 추가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이 CUBIC에는 접근로가 마련되지 않은 주거를 위한 수직동선과 로비공간을 마련한 TYPE 1. 단일형 과 길에서 주거 영역으로 진입하는 사이공간을 이루는 슬로프나 계단이 추가된 TYPE 2. 가로형, 마지막으로 단일형의 수직요소에 수평적 요소(INCENTIVE AREA)를 추가함으로써 인근 주택들의 소규모 커뮤니티 군집공간을 창출한 TYPE 3. 수평요소 결합형 이 있다.   목표 #2. 커뮤니티 공간의 확충 창신동의 부족한 커뮤니티 공간을 창출하기 위한 여러가지 전략으로 주민들과 외부인들이 모두 통행하는 중앙 가로에 면한 포켓공간에서부터 주거영역으로 연결되는 가로형 CUBIC, 블럭 중앙의 소규모 커뮤니티와 가로가 연결되는 틈새공간, 블록 내부에 위치해 인접한 건물의 주민들만이 이용하는 소규모 휴게공간까지 위계에 따라 단계를 나눠 각각 다른성격을 가지는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을 설정하였다.   목표 #3.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주거환경의 개선 뿐만이 아니라 창신동만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마을 밖 사회와의 지속가능한 연결고리를 부여하기 위해 신축 지역 커뮤니티를 계획하였다. 주민생활지원센터와 체육센터, 저소득층 혹은 장애인, 아동, 청소년 같은 취약계층의 자립을 위한 일자리 교육실, 성곽길 방문객들을 위한 쉼터와 카페, 봉제공장 촌으로써의 특징을 강조하기 위한 헌옷 기증관과 패턴 공모장 등의 다양한 이용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지역 커뮤니티를 계획하였다. 목표 #4. 단절의 극복과 위계의 형성 조선시대 낙산성곽으로 인한 교통 인프라의 단절과 각종 주거 인프라의 부재, 지역 주민간의 교류의 단절 등 여러가지 단절을 겪고 있는 창신동을 연결하는 과정으로 성곽 방문객, 의류업 종사자들 등 외부인들까지 모두 접근 가능한 낮은 위계의 가로공간부터 높은 위계의 마을의 주거 전용 소규모 커뮤니티까지 규칙성을 가진 연결 방법을 적용한다. 벽은 이로 인해 분할되는 두 구역을 분할하곤 하지만 벽과 평행한 두 구역의 경우 ‘연결’하는 요소로써 이용될 수 있다. 이 점을 이용하여 마을 곳곳의 크고 작은 커뮤니티 공간을 연결하는 마을의 네트워크 요소로써 작용한다. 벽을 설치함으로써 주거 영역의 프라이버시를 강화할 수 도 있으며 커뮤니티 공간끼리의 연결성을 강화할 수도 있는 복합적인 기능의 요소로써 기능한다. 04.프로그램 이용자를 기존 창신동에 거주하거나 자주 방문하는 이들과 새롭게 제시할 취약계층 커뮤니티를 이용할 방문자들로 두 부류로 분류해 분석해보았다. 먼저 기존 창신동 거주자나 방문자들에는 기존 창신동 주민들, 봉제공장 운영자 및 노동자, 마을 초입 재래시장 상인, 성곽길을 방문하는 외부인들이 있다. 그리고 새롭게 제시할 취약계층 커뮤니티는 장애인, 아동/청소년, 일반인 입주자가 있다. 어느 프로그램에서는 도움을 받는 이들이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도움을 주는 이가 되기도 한다. 각각의 주체들이 고정된 관리자-피관리자 형태의 관계가 아닌 유연한 위계로 재정의되고 재조합 되면서 다양한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일자리 교육센터에서 바리스타 교육을 받는 경증 발달장애인이 성곽길 인근 외부 방문객들이 쉬어갈 수 있는 카페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마찬가지로 아동/청소년센터의 방과후학교에서 장애인이나 노인들의 보호자로서 자원봉사자 교육을 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렇듯 다양한 조각으로 파편화된 창신동 혹은 그 외 이용자 유형들을 새로운 경계의 형태로 재조합하는 사회취약계층 주거기반 복지시설을 제안한다. 05.가로경관 디자인 1. POCKET SPACE 부족한 마을 쉼터. 블록 중앙을 비워 형성한 주거전용 소규모 커뮤니티는 인접 주택거주자들로 이용자들이 한정되지만 가로에 면한 포켓공간은 ‘가로’의 성격을 더 크게 갖는 높은 범위의 사용자층을 지닌 공간이다. 2. CUBIC 마을의 주거 영역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추가된 큐빅은 블록 중앙이나 가로에 면하도록 위치해 가로-집 사이의 연결 혹은 완충공간으로 작용한다. 인접한 몇 채의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공유 스페이스로 퍼블릭한 마을 가로와 프라이빗한 주거영역의 중간 성격의 커뮤니티 공간이다 3. GREEN LAYER 차도-보행로 사이에 녹지 레이어를 추가함으로써 부족한 녹지공간의 충원 및 보차분리 효과를 가져온다. 이와 함께 마을주민과 외부인 모두가 이용가능한 휴게공간과 전시공간을 추가해 주민들이 직접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교수 김민규 교수님
지도교수 작품평 마을의 장소성을 보존하며, 마을 커뮤니티를 증진을 목표로 단위공동체를 형성하고 낙후된 지역의 아이덴티티 회복, 노인, 경제적 약자, 주거약자 등의 취약계층이 타인의 도움 없이도 삶을 지속적이고 주체적으로 영위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도시정비계획을 제안하였습니다. 대상지인 창신동은 성곽길의 가파른 계단, 시장 속 쪽방촌, 봉제공장의 작업공간과 혼재된 가정집, 홍수에 취약한 반지하 등의 열악한 지역입니다. 성곽마을의 장소성을 유지할 수 있게 문화재, 블럭크기, 도로체계를 존중하며 기능성과 중심공간, 커뮤니티공간을 정비하였고, 각 블록별 기존 주택의 형태를 유지하며 필요공간을 추가, 삽입 연결하는 건물의 리노베이션, 형태복원, 클러스터의 형성등의 건축공간 형성과 각 공간의 사회적 약자의 특성을 고려한 내부 공간까지 연결한 도시-건물-내부인테리어를 순차적으로 통합적 관점에서 완성시킨 프로젝트입니다. 무엇보다 취약계층이 자립적으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복지 및 커뮤니티 시설을 포함하여 지역사회와 취약계층 간의 연결을 촉진하여 사회적 통합을 증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연결고리를 형성한다는 건축가의 사회적 책임이 기반의 기본적 개념을 고려한 프로젝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