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HYPER NODE : 기존 도심 철도 기반 차량기지를 활용한 물류 인프라

수상 대상
출품자 한나라
소속대학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과 4년
설계개요 [다가올 미래에 건축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전례없는 연결성과 지능의 시대로 도래함에 따라 네트워크나 흐름 형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인프라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고, 이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기능을 유지하면서 더욱 큰 범위로 확장될 것이다. 지하철은 도시 내 각 지점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수단이며 도시 인프라와 건축의 접점이자 도시의 흐름을 구축하는 결절점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인프라이기 때문에 도시 공간 내에서 건축과 결합하여 새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차량기지 상부를 활용하여 차량과 차량이 운행되는 사이 시간, 운행되지 않는 시간을 통해 지하철을 이용한 물류 운반 및 생산 시설을 구축함으로써 도시를 통합하고 단순 물리적 결합을 넘어 도시적 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물류 거점 공간을 제안한다.
작품설명 [Background] 차량기지는 이동과 네트워크를 목적으로 설계되어 지역과 지역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문 지역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 궁극적으로 이 공간은 지역과 지역, 사람과 사람을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도시적 관점에서 지하철 차량기지는 꼭 필요한 인프라임에도 불구하고 본 기능 외 활용도가 부족하다. 따라서 도시 전반을 연결하는 '철도'라는 이미 구축된 네트워크와 시설을 활용하여 다가올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한다. [Concept] : Hyper Node 결절점(Node)은 가로가 모이는 교차점이고, 기타 교통 기관의 환승 지점이 되기도 하며 출발점과 도착점, 발산과 수렴의 양면성을 지닌다. 하이퍼 노드(결절점)는 이동공간으로서의 가로 개념이 아니라 사람들의 다양한 액티비티가 발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나아가 평면적 결절점을 3차원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사람, 물류, 정보 등 도시적 흐름을 유발하는 요소들의 동선 패턴을 도시에서 건축 내부로, 그리고 다시 도시로 나오는 흐름을 만들어내어 연속된 동선의 흐름을 형성한다. 이는 다시 여러 레이어로 분산 배치되어 겹쳐집으로써 건물에 비정형적 보이드가 발생하여 내외부의 경계를 허물고 전 층이 시각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공간을 제공한다. 공간적인 연결 뿐만 아니라 시공간의 연결을 도모하기 위해 문화 공간, 제조, 교육 공간, 물류 운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용시킴으로써 24시간 순환할 수 있는 도심 심장부의 역할을 기대한다. [Conclusion] 결절점의 개념은 관문 지역에 위치한 모든 차량 기지에 적용이 가능하다. 지하철의 보관, 검수 등 기존의 기능에 국한되었던 차량 기지가 지역의 랜드 마크로 자리하며 문화의 생산, 상품 제조, 교육이 자유롭게 순환하여 도심 네트워크의 재구축 기반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지도교수 이선경, 한인경
지도교수 작품평 ‘초연결, 초융합, 초지능’이라는 주제로 진행한 건축설계 스튜디오에서 ‘HYPER NODE’는 기존 도심 철도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기지를 활용한 물류 인프라 시설로서 차량기지로 인한 도시의 단절을 극복하고, 도시철도의 운영이 멈춘 시간의 교통망을 활용하며, 차량기지 상부 공간의 건축적 축적이 함께 작동하는 새로운 물류 인프라의 제공을 제안한다. 이것은 단순한 물류 공간을 넘어 도시 간의 연결, 사람과 삶의 연결, 다양한 문화생활 제공으로 새로운 거점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스마트 도시로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정책적으로나 실질적으로나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차량기지 주변 주거단지의 확장에 의한 문화, 물류의 불균형과 같은 도시의 확장 시 수반되는 사회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제시로서도 큰 의미가 있다. 본 작품은 컨셉인 HYPER NODE를 통하여 여러 복합용도로 계획된 대지 내에서 중요한 결절점 역할을 함과 동시에 주변 도시와 물리적, 화학적 결합을 입체적으로 이끌어 내어 ‘초연결, 초융합, 초지능’의 주제를 무척이나 효율적이고 완성도 높은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