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재唻시장 ; 노래가 들려오는 시장

수상 우수상
출품자 이지원
소속대학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과 4학년
설계개요 시장의 기능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다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시장은 조선시대이전에 주로 물물교환의 장소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상품이 거래되는 기능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이 모여 정보교환, 사교, 오락등이 이루어지던 장소로서 기능하였다. 또한 시장은 다양한 민속놀이와 사당패 놀이, 보부상 놀이, 다양한 공연 등이 행해지던 난장의 공간으로 지역주민 간의 화합과 결속력을 다지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했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시장은 시대가 지남에 따라 기존에 이루어지던 다양한 문화 커뮤니티적인 기능은 점차 사 라지고 현대에 와서는 시장의 기능만 남게 되었다. 게 다가 현대에 와서는 이러한 시장의 기능을 더욱 잘 수행 하는 백화점, 온라인 E커머스, 창고형 할인점 등 다양한 종류의 시장이 생기면서 기존의 전통시장은 더이상 방문할 메리트가 없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준 다. 우리가 이러한 전통시장에게서 바랬던, 바라는, 그 리고 바래야할 모습은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 생각해봐야 할것이다.
작품설명 조선시대부터 여러 시기를 거치면서도 계속 이어져 온 남대문 시장은 대화재를 거치면서 대부분의 건물이 현대화 계획을 통해 현재의 쇼핑몰이 연상되는 현대적인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그 후 없는게 없는 다양한 물건을 판다는 지금의 남대문시장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남대문 시장은 역사적으로나 전통적으로나 다양한 물품을 파는 시장으로써 유 명하나 e커머스나 백화점등 다양한 물품을 구하기가 너무 쉬워진 지금 특화된 제품이 없는 남대문 시장의 상권 은 다른 시장이나 마트등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고 시 장만이 가지고있는 특색 있는 모습이 퇴화되고 있다. 과거 전통 시장에서 이루어 졌던 다양한 ‘놀이’에 대한 재해석 ‘공연’과 현재 시장과의 연계가 가능한 다양한 문화, 체험 공간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각 시장의 구성별로 알맞는 다양한 공간은 시장의 물품을 사용한 프로그램을 구성 하여 사람을 이끌어 시장과 상호 공존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시장을 방문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시장을 운영하는 사람들 내에 있어서도 끈끈한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문화 커뮤니티의 성격을 부각시킨다.
지도교수 이금진
지도교수 작품평 이 작품은 공연, 문화, 시장의 통합적인 작품이다. 옛 전통시장이 어떠한 모습이였는지에대한 고민과 현대 전통시장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 과거에 사교 오락의 장 이었던 시장 공간을 문화공간과의 융합으로 재해석한 모습이다. 전통시장의 본질적인 면모를 되찾으면서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시장의 재미를 담아내고자 한 작품의 의도를 높게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