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Urban Plateau_지역시장과 버스터미널의 nexus

수상 우수상
출품자 오재혁
소속대학 홍익대학교 건축공학부 건축학과 5학년
설계개요 지역시장과 버스터미널은 앵커시설로서 지방도시의 소단위 소통의 장으로 존재한다. 하지만 물류시스템과 모빌리티산업 발전, 지방인구감소를 이유로 근 미래에 물리적 형태의 소멸이 예상된다. 물리적인 형태가 변화하지 않는다면 그 기능이 변화되는 역설적 구조속에 있기에 시간성과 관계없이 기능을 담기위한 최적의 형태는 비워진(vide) 유형으로 존재해야하지 않을까 따라서, 해당 프로젝트는 단일 기능만을 수행했던 두 시설들을 매듭지어줌으로써 고정되거나 안정된 상태가 아니라 역동적이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잠재력의 장이 되어 다양한 이벤트와 사람들이 섞이는 어반 쁠라또(plateau)에 대한 계획이다.
작품설명 [ISSUE - 공유가 만들어낸 경계] 미래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연결과 공유이다. 하지만, 기술의 사용성에 따라 결과값이 극명하게 나뉘며 기술적 특이점(sigularity) 을 넘어 개인, 도시, 국가간의 좁힐 수 없는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정보의 공유와 연결로 인해 비물리적 경계는 사라진듯 해 보이나 물리적 경계는 그 어느때 보다 명확해지고 있다. [보이지 않는 경계의 가능성] 따라서 충남 서산의 구도심 속 하나의 경계로 자리 잡은 전통시장과 버스터미널에 주목한다. 과거 단일 기능만 수행하던 전통적인 생존방식으로써의 건축이 아닌, 두 가지 프로그램의 건축적 이종교배를 통해 환경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매듭지을 수 있는 공간을 유형화한 뒤 이질적 프로그램 간의 직조를 통해 매듭 공간을 구성한다. [비움으로서의 개입] 기존의 전통시장 조직의 일부를 대상지 내부로 받아 들인다. 동시에 전통적인 공간점유 방식이 아닌 비워진 공간속 불확정적으로 점유가능한 새로운 시장의 형태를 제안함으로서 날마다 변화하는 광장의 풍경을 연출한다. 이러한 개입은 시장이라는 외연을 확장하고 다양한 이벤트를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는 공간이 된다.
지도교수 이성재, 오승태
지도교수 작품평 지방소멸의 위기 속, 중소도시 서산(瑞山)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그리다. 인구와 상권의 축소, 물류와 유통체계의 전환에 따라 사람과 물자, 정보가 모이는 원도심의 중심인 시장과 버스터미널이 급속하게 쇠퇴하고 있다. 본 작품은 이러한 위기에 직면해 서로 다른 두가지 유형의 거점시설을 연계·통합하는 새로운 도시공간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물리적 거리와 보이지 않는 경계로 인해 단절되어 있던 두 시설을 물리적, 사회적으로 서로 얽히고 연결되도록 매듭짓고 가로의 흐름을 재구성함으로써, 끊임없이 섞이고 변화하는 도시적 장소를 조성하는 제안이다. 다양하고 이질적인 프로그램 간의 복합적 상호작용은 ‘직조(織造)’와 ‘매듭’으로 은유되는 구축적 논리와 방법론을 통해 구체화되며, 의도적으로 비워진 중간지대와 매듭 속 빈 공극들을 통해 상황에 따라 반응하면서 변화하는 불확정적 공간들이 다양한 이벤트를 수용한다.작품명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천개의 고원(Plateau)’에서 말하는 ‘위계 없이도 서로 다른 강도가 공존하면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곳’의 의미를 차용한 것으로, 날마다 변화하는 도시 속에서 서로 관계를 맺으며 공존하고 상호작용하는 미래적 장소에 대한 희망을 담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