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품

주요일정

  • 신청접수 2024. 09. 02(월) ~ 09. 11(수)
  • 작품접수 2024. 09. 19(목) ~ 09. 23(월)
  • 작품출력물 제출 2024. 09. 19(목) ~ 09. 23(월)

수상작품

Show Arko

수상 우수상
출품자 신소희
소속대학 인천대학교 건축과 대학원
설계개요 아르코미술관 리모델링 프로젝트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 1-130번지 대지면적 : 5,168.2㎡ / 건축면적 : 1,058.32㎡ / 연면적 : 3,259.8㎡ 규모 : 지하2층, 지상3층 구조 : 연와조, 철골콘크리트조 용도 : 문화 및 집회시설
작품설명 문화예술의 중심, 대학로에는 그의 상징인 마로니에 공원이 있다. 그 안에 있는 아르코미술관은 미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로써도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두터운 벽으로 막힌 매스로 인해 이처럼 아름다운 특징들이 숨겨지게 된다. 전면의 마로니에 공원과 소통되는 모습은 전혀 보이지 않고, 아르코의 스킵플로우는 벽으로 완전히 가려져있다. 이러한 강점이자 특징들을 극대화하기 위해 내부의 프로그램을 보이게 하여 공원 속의 사람들이 아르코미술관에 궁금증을 품게 하고, 스킵플로우를 막고 있던 벽을 해체하여 건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더욱 흥미로운 요소를 더해준다. 내부와 외부, 내부와 내부를 보이게 함으로써 독립적이던 아르코를 주변과 연계되고 건물 자체의 미를 드러내는 전시관이 되도록 제안한다.
지도교수 유영수
지도교수 작품평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아르코 미술관은 아르코 예술극장과 더불어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일대의 장소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그 중에서도 붉은 벽돌 재료와 조적 디테일 등 외벽이 큰 역할을 한다. 또한 내부 공간 구성에 있어 여러 레벨의 공간을 잇는 좁은 계단 동선 등 김수근 특유의 건축 어휘가 두드러진다. 학생의 작업은 이러한 아르코 미술관의 건축적 특징이 이 건물의 중요한 가치이나 현재 우리 사회가 미술관이라는 문화시설을 항유하고 경험하는 방식을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학생의 리모델링 제안은 아르코 미술관의 중요한 건축적 개성을 존중하면서도 미술관과 외부 도시 공간의 소통을 만들어내고 미술관 내부의 여러 전시 및 프로그램 공간들 간의 상호 연결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폐쇄적인 입면에 절제된 투명성을 더하고 섬세하게 단면을 재구성하여 제한된 매스 안에서 다양한 공간감을 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